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거짓 소문’ 휩쓸었던 전북대 총장 선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허위사실 공표’ 교수 2명 공소장엔

“특정 후보 당선시키려 경찰 제보”

중앙일보

장준갑 교수(오른쪽)가 경찰의 전북대 총장 선거 개입 사건 관련자 문책을 촉구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치러진 전북대 총장 선거를 둘러싼 후유증이 여전하다. 선거때 특정 후보를 지지했던 교수들이 근거 없는 총장 비리를 근거로 경찰을 끌어들인 사실이 법정공방으로 이어져서다.

11일 전주지법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29일 직선으로 치러진 선거를 앞두고 당시 이남호(60) 총장이 비리가 있는 것처럼 경찰에 제보한 혐의(무고)로 기소된 정모(63) 교수와 김모(73) 명예교수 등 2명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이다. 정 교수 등은 경찰 제보 후에도 ‘경찰의 탐문 수사가 시작됐다’고 다른 교수들에게 알린 혐의(허위사실 공표 등)도 받고 있다. 앞서 검찰은 지난 4월 26일 이들을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정 교수 등은 지난해 10월 초 대학 안에서 떠도는 이 총장 비리에 대한 소문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을 논의했다. 당시 이 총장을 낙선시키고 본인들이 지지한 A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서다. 이후 김 교수는 지난해 10월 16일 전주의 한 커피숍에서 경찰청 수사국 범죄정보과 김모 경감을 만나 ‘이 총장이 연구비 수억원을 횡령했다’ 등의 거짓 정보를 흘렸다. 이후 “경찰청 본청에서 경찰관이 내려와 이 총장 비리에 대한 탐문 수사를 시작했다”는 말이 퍼지기까지 김 교수→민주평화당 고위 당직자→전직 경찰관→김 경감→정 교수→교수회장 등이 직·간접적인 ‘연결 고리’ 역할을 했다. 김 경감은 10월 17~18일 총장 후보를 포함해 전북대 교수 4명과 전화·문자를 주고받거나 연구실 등에서 만나 이 총장에 대한 비리를 모았다.

하지만 검찰은 이 전 총장에 대한 비리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당시 경찰관이 탐문 수사를 진행한 것은 피고인들(두 교수)에 의해 촉발됐다고 판단해 이들을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정 교수는 본인이 김 경감을 끌어들였으면서도 전후 맥락을 생략한 채 교수들에게 ‘총장 내사설’을 퍼뜨렸다. 당시 교수회장인 B교수는 정 교수 말을 듣고 교수평의회 평의원 40여 명에게 e메일로 총장 내사 부분을 교수 전체에게 알려야 하는지 물었다. 이렇게 퍼진 ‘총장 내사설’은 선거 최대 쟁점이 됐고, 재선을 노리던 이 전 총장은 김동원 후보(현 전북대 총장)에게 졌다. 검찰은 김 경감과 그가 만난 교수 대부분에게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전주지검 관계자는 “단순히 중간에서 사람들을 소개해 주고 경찰을 만난 것만으로는 범죄가 안 된다”고 했다.

김준희 기자 kim.junhe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