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미중 무역분쟁에 1분기 한국 대미 수출 '반사이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협 보고서 "당분간 반사이익 계속…분쟁 장기화땐 큰 피해"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하면서 한국이 지난 1분기 중에 대(對) 미국 수출에서 반사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12일 발표한 '미중 무역분쟁의 수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로 해당 중국산 제품 수입은 24.7% 감소한 반면 한국산은 20.5% 증가했다.

연합뉴스

미중 무역분쟁 (CG)



품목별로는 자동차, 기계류, 플라스틱·고무제품, 전기·전자제품,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미국의 중국산 수입이 줄어들고 한국산 수입은 늘었다.

미국에서 대중국 제재 품목과 관련해 수입이 증가한 나라는 대만(29.1%), 베트남(28.3%), 한국(20.5%) 순이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대중국 제재품목 수입시장에서 중국산의 점유율은 작년 상반기 16.1%에서 올해 1분기 12.5%로 3.6%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한국산은 3.4%에서 4.1%로 0.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미중 간 교역 감소에 따른 중간재 수요 하락, 성장 둔화 등으로 인한 수출 감소에도 중국산이 다른 나라 제품으로 대체되는 무역전환 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연합뉴스

미국 수입시장에서 중국산·한국산 점유율
[무협 제공]



거꾸로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로 미국(-36.9%)과 베트남(-20.2%) 수입이 가장 크게 줄어든 데 비해 한국은 -5.9%로 감소 폭이 가장 작았다.

중국의 대한국 수입 감소는 중국의 대미 수출 감소로 인한 중간재 수요 감소 및 경기둔화 영향이 무역전환 효과보다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중국의 대미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호주, 브라질, 말레이시아 등으로부터 농수산물, 석유제품, 기계류, 화학공업제품, 귀금속 등이 많이 수입됐다.

보고서는 "미중 무역분쟁이 지속할 경우 수출 경합도와 한국산 점유율이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미 수출에선 자동차, 반도체, 가전, 휴대폰, 플라스틱 등이, 대중 수출은 화학제품, 철강제품, 기계류, 전기·전자제품, 화장품 등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이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를 제재한 가운데 삼성전자[005930]는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합계 5세대 이동통신(5G)장비 시장에서 매출 점유율 37%로 화웨이(28%)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중국 수입시장에서 미국산·한국산 점유율
[무협 제공]



미중 통상 분쟁은 '중국제조 2025' 전략을 늦추는 효과가 있어 중국의 빠른 기술추격에 직면한 한국 제조업의 수출경쟁력 확보에 기여하는 측면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국제무역연구원 문병기 수석연구원은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면 투자 및 소비 둔화, 금융 불안, 중국의 아세안 수출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 등으로 한국의 수출 피해는 커질 것"이라며 "수출시장 다변화, 첨단 신기술 제품 개발, 생산네트워크 조정 등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sungji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