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발등의 불! 버스 52시간제] 강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개 업체 7월부터 적용…인력 수급 초점·적자 노선 손질 불가피

지자체, 인력 충원 지원 및 공공형 버스·택시 확대 등 대책 마련

연합뉴스

춘천 시내버스 차고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춘천=연합뉴스) 박영서 기자 = 다음 달부터 300인 이상 노선버스 운송업체에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는 가운데 강원지역은 운전인력 부족으로 인한 노선개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강원도에 따르면 도내 300인 이상 노선버스 운송업체는 금강고속, 강원고속, 강원여객 등 3곳이다.

동해상사고속 등 50∼299인에 해당하는 10개 업체는 내년 1월부터, 산천어운수 등 5∼49인에 속하는 8개 업체는 2021년 7월부터 주 52시간 근무에 돌입한다.

올해 4월 말 기준으로 이들 21개 업체에 필요한 운전인력은 313명이다.

당장 다음 달부터 주 52시간 근무를 해야 하는 3개 업체에는 124명(시내 18명·시외 106명)이 필요하다.

업체마다 30∼40명가량의 운전인력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시내버스 노선 부족 인력 18명 중 16명은 이달 중으로 운수종사자 양성 교육을 통해 신규 채용돼 걱정을 덜었지만, 시외버스는 인력 수급이 어려워 이용객 불편이 예상된다.

장거리 노선이 많은 특성상 경력이 부족한 운수종사자의 취업이 어렵기 때문이다.

버스업계는 생산직 근로자들과 달리 탑승객이 많든 적든 정해진 시간에 목적지를 오가야 하는 업계 특성상 근로의 탄력성이 낮은 만큼 인력 수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꾸준한 인력 채용을 하되 인력 부족으로 주 52시간 근무를 지키기 어려운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노선을 조정해 대응해나갈 예정이다.

연합뉴스

농어촌 버스노선 감축·폐지(CG)
[연합뉴스TV 제공]



강원고속 관계자는 "인력이 조금 부족하지만 52시간을 못 지킬 정도는 아니다"며 "일단은 사람을 채용하는 방법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회사에서는 운전기사가 출근하면 12시간 임금을 주는데 실제로 운전대를 잡는 시간은 6∼8시간이라면 실근로시간을 12시간으로 봐야 할지 6∼8시간으로 봐야 할지 애매하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도는 이들 3개 업체를 대상으로 추가 채용 여부를 파악하며 인력 증원이 없으면 불가피하게 비수익 노선을 손보는 등 개편해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할 계획이다.

도가 지난해 말 버스업체를 대상으로 노선 감축 계획을 조사한 결과 1천425개 노선 중 228개 노선(16%)이 감축 대상에 올랐다.

버스 수로 따지면 1천321대 중 212대(16%)가 줄어드는 것이다.

도는 지난해 10월 시내버스 요금이 1천200원에서 1천400원으로 올랐고, 올해 2월 시외버스 요금도 13.5% 오르면서 노선 감축이 16%보다는 적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시내버스는 시 단위 지역은 90% 이상, 군 단위 지역은 100% 적자 노선인 탓에 노선 조정이 불가피하다.

이에 도와 각 시·군은 128억원을 들여 공공형 버스 85대를 운영하고, 지난해 183개 마을에서 운영하던 공공형 택시를 올해는 43억원을 들여 300개 마을로 확대하는 등 도시형·농촌형 교통모델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도는 이달 중으로 시내버스 운영체계 개편 용역을 발주해 시내버스 노선의 효율성을 살피고, 준공영제 시행 시 국비 지원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내버스와 함께 시외버스의 경우에도 인력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노선개편이 불가피해 이달 중 시외버스 업계에서 노선 조정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연합뉴스

버스로 시작된 '주52시간 논란'…해결책은? (CG)
[연합뉴스TV 제공]



도는 올해 도비 103억과 시·군비 207억원 등 310억원을 들여 시외·시내버스 재정지원, 벽지 노선 손실보상, 운수종사자 양성과 견습 등을 지원한다.

이 중 시내버스 재정지원금이 233억원으로 가장 많다.

도는 앞서 버스업계의 경영개선을 위한 비수익 노선 재정지원 외에 노동시간 단축으로 줄어든 임금과 신규인력 임금, 국비 지원 관련 규정 마련을 정부에 건의한 바 있다.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을 통해 매년 정기적으로 버스업계 경영수지분석 용역 수행 등으로 적정 버스요금을 책정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고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시민들은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한 요금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요금인상에 따른 서비스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반응이다.

한 시민은 "요금인상이 부담되는 건 사실이지만 어쩔 수 없지 않으냐"며 "다만 업계 스스로 경영개선 등을 통해 요금인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conany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