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인공지능으로 신약 후보물질 찾는다…AI 플랫폼 구축에 258억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BS노컷뉴스 김선경 기자

노컷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신약 후보물질과 이미 개발된 의약품에서 새 효능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구축에 나선다.

AI 플랫폼이 개발되면 신약개발 기간을 15년에서 최단 7∼8년 정도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3년간 총 258억원을 투입해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프로젝트에는 인공지능 및 신약개발 전문가로 구성된 6개 연구팀과 운영 관리기관이 참여한다.

과기정통부는 "1조원 이상의 연구개발(R&D) 비용과 15년에 달하는 연구 기간이 국내 제약사에겐 신약개발의 '진입장벽'이 돼 왔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인공지능 활용이 대두되는 데 정부가 이런 플랫폼 개발을 지원키로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신약 후보물질 발굴용 인공지능 플랫폼 구축 연구에는 주식회사 아론티어, 중앙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대 등이 참여한다.

주식회사 아론티어는 서울아산병원의 유전체 데이터, 간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 실험 데이터 등을 활용해 폐암·뇌암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개발한다.

중앙대 연구진은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퇴행성 뇌 질환에 특화된 플랫폼 개발을 수행한다.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제약사들의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해 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화여대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만들 예정이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에서 새 효능을 발견하는 '신약 재창출'을 위한 플랫폼도 개발된다.

카이스트 연구진은 기존 약물 작용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키로 했다. 또 서울아산병원은 면역항암제를 쓸 때 이상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개발한 플랫폼은 연구자·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