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기아차, '중국 1호 공장' 폐쇄…합작 위에다그룹에 장기 임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기아차, 지난달 중국판매 5.7%, 24.4% 급감…원가 절감 총력

연합뉴스

기아차, 中 옌청에 30만대 규모 제2공장
2004.5.13 (서울=연합뉴스) <저작권자 ⓒ 2004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 기아자동차[000270]가 판매 급감으로 구조조정을 추진 중인 '중국 1호 공장'이 이달 말 문을 닫는다.

현대자동차[005380]도 앞서 중국 베이징 1공장을 가동 중단해 현대차그룹의 중국 판매가 대폭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13일 기아차에 따르면 사실상 생산이 중단된 둥펑위에다기아의 중국 장쑤(江蘇)성 옌청(鹽城) 1공장을 합작법인의 주주인 위에다(悅達) 그룹에 장기임대하기로 했다.

옌청1공장은 지난 2002년 기아차(50%)와 둥펑(東風) 자동차(25%), 위에다그룹(25%)이 합작 형태로 둥펑위에다기아를 세우면서 처음 지은 공장으로 연간 14만대 생산 규모다.

기아차는 지난달 말 옌청 1공장 매각 작업을 시작해 이 공장의 인력 약 1천명 가운데 상당수를 전환 배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1공장에서는 이달 말까지만 기아차 완성차를 생산하고, 2021년 상반기부터는 전기차 공장으로 전환해 위에다그룹의 자회사인 화런윈퉁(華人運通)이 전기차 위탁 생산공장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둥펑위에다기아는 1공장에서 생산하던 중국 전략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즈파오(한국명 스포티지) 생산은 2공장으로 넘기기로 했다.

앞서 둥펑위에다기아는 지난 3월 공식 웨이보 계정을 통해 1공장의 구조 합리화 조정(구조조정) 방안과 관련해 "둥펑과 위에다, 기아 등 주주들이 의견을 교환한 결과 1공장에 대한 구조조정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둥펑위에다기아는 "중국 정부의 '듀얼 크레딧(雙積分)' 정책을 준수하고, 미래 사업의 기초를 안정화하기 위해 1공장은 신에너지차(NEV) 전용 생산공장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올해 1∼4월 NEV 판매가 83% 급증하면서 완성차업체의 NEV 판매와 관련한 크레딧의 공급 과잉이 나타나자 크레딧 계산 방법 조정과 NEV 의무비율 상향 등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

옌청공장 조립라인의 과거 모습
(옌청=연합뉴스) 기아자동차는 중국 위에다자동차유한공사와 합작으로 장쑤성 옌청시에 프라이드 현지 공장을 준공,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갔다. 1999.9.28 <저작권자 ⓒ 2005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중국 정부의 NEV 크레딧 규제 강화는 크레딧 가격의 하락으로 NEV 의무생산 물량을 소화하지 못한 업체의 크레딧 부담이 줄어 규제 효과가 약화했기 때문이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의 내연기관차 판매는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이지만, NEV는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에도 중국 전체 자동차 판매는 158만2천대로 작년 동월 대비 12.5% 급감했으나 전기차는 9만4천대로 1.6% 증가했다.

그러나 현대·기아차는 중국의 한국산 배터리 인증 등의 문제로 전기차 판매에 고전하고 있다.

지난달 현대차의 중국 소매판매는 5만351대로 작년 동월 대비 5.7% 감소했으며, 기아차는 2만3천170대로 24.4% 급감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와 기아차가 각각 수립한 올해 중국판매 목표인 86만대와 43만대를 하향 조정할 방침이다.

이밖에 현대·기아차는 중국에서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태스크포스를 가동해 원가 절감에 주력하고 있다.

기아차는 올해부터 원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지 부품업체의 100% 입찰이 가능하게 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기아차 관계자는 "중국 현지 부품업체에서 조달하는 비율이 10% 수준인데 내년에 출시하는 신차부터 20∼30% 수준으로 높이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justdust@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