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양극화 심화…CATL·BYD 점유율 70% 육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NE리서치 1~4월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분석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김지은 기자 =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배터리 업계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배터리 시장분석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4월 중국 시장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19.0GWh로 전년 동기 대비 2.4배 급증했다.

이 가운데 CATL과 BYD를 비롯한 '톱10' 업체들의 사용량은 17GWh로 147.7% 급증했으며, 비중은 89.6%로 90%에 육박하는 수준을 보였다.

특히 CATL과 BYD의 사용량 합계가 전체의 70%에 달해 상위권 중에서도 두 업체에 대한 쏠림 현상이 커지는 양상이다. 이는 사용량이나 비중 모두 전년 동기보다 늘어난 것은 물론, 2017년 이래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반면 기타 업체들의 비중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SNE리서치는 이러한 중국 업계의 양극화 문제를 두고 "주로 중국 당국의 정책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중국 당국의 전기차 보조금 축소 정책으로 비상위권 업체들이 어려움에 처하면서 도산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2016~2017년에 중국 시장 3위였던 '옵티멈 나노'가 지난해애는 50위로 급락하고 올해 들어서는 60위로 추락했다.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중국 업계가 대대적으로 구조 개편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상위권 업체들 상당수가 문을 닫거나 흡수 합병되는 한편, 상위권 업체들은 해외 공급 물량까지 대거 확대하면서 결국엔 특정 소수 업체들만 살아남는 구조로 바뀌어가고 있다는 진단이다.

업계 1위 CATL은 폭스바겐 MEB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다임러, BMW 등 해외 업체들에 대한 거래선을 확대하고 있다.2위 BYD는 북미, 유럽, 아시아 등 해외 지역에서 전기버스와 전기트럭에 대한 배터리 공급 물량을 대거 늘리고 있다.

일단 이 두 업체들의 사용량이 향후 더욱 급증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인 가운데 비상위권 업체들의 구조 개편이 적어도 보조금이 완전히 폐지되는 2021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앞으로 한국 배터리 3사는 이러한 중국 업계의 판도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중국을 포함한 세계 시장 대응 전략을 적절히 수립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며 "기술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다양한 해외 공급선을 확보해나가는 것이 주요 과제"라고 덧붙였다.

kje1321@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