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철강·반도체 등 주력 제조업, 하반기 반등 어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경련, '2019 하반기 산업전망 세미나' 개최

2약(철강·반도체), 2중(석유화학·전자), 2강(자동차·조선) 예상

"미중 무역분쟁·글로벌 경기 둔화가 주요 원인"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종호 기자] 부진에 빠진 철강과 반도체 등 국내 주력 제조업이 올 하반기에도 반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전경련회관 콘퍼런스센터에서 ‘2019년 하반기 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김현 메리츠종금증권 기업분석팀장 등 산업별 전문가들이 반도체와 자동차, 철강 등 6개 주력 제조업주과 건설업 전망을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올 하반기에도 국내 주력 제조업 업황이 불투명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 전망은 ‘2약(철강·반도체), 2중(석유화학·전자), 2강(자동차·조선)’의 양상을 예상했다.

우선 철강의 경우 최근 브라질 베일(Vale) 광산댐 붕괴사고로 인한 철광석 공급 감소 우려와 호주에서 발생한 태풍 영향 등으로 최근 철광석 원료가격이 급등한 점이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의 조강 생산량 증가 등도 원가상승 압박 요인이지만 국내 기업의 철강 가격 인상에는 한계가 있어 수익성 악화를 예상했다.

반도체는 데이터센터 서버용 D램 수요는 다소 회복할 것으로 봤지만 높은 수준의 재고로 인해 가격 하락과 수출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중국이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 등 국내 기업을 상대로 반독점 규제 적용 압박을 지속하고 있는 것도 부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전자·전기의 경우 미국 정부의 화웨이 거래제한 조치로 인해 글로벌 5G 인프라 구축 지연 등이 IT 수요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했다.

석유화학에서는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중국 경기 부양책 불투명 등으로 적극적 수요 확대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미국 셰일 가스 생산량 증가 등으로 공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하반기 ‘IMO2020’ 시행 효과로 경유와 저유황 연료유 등 고부가가치 석유제품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점은 긍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조선·기계는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서 한국이 굳건한 경쟁력을 확보한 가운데 세계적 LNG 수요 증가와 IMO 2020 환경규제 등으로 관련 선박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진행 중인 조선업계 구조조정이 원만히 마무리되면 매출과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계업종은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건설기계 시장 축소 등으로 다소 악화를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자동차의 경우 지난해 미국시장 등에서 역성장했던 현대차(005380)와 기아차(000270)의 판매량과 이익률이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대형 SUV 신모델 출시로 하반기 추가적인 성장을 예상했다. 국내에서도 펠리세이드와 텔루라이드 등 신모델 출시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분석했다. 원화 약세도 실적 개선에 다소 기여할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자동차 수요억제 정책으로 인해 중국시장에서의 판매부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