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재용 부회장, 1200명 신규채용한 삼성전기 방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정혁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전기 경영진 간담회…5G·자동차전장용 MLCC사업 공격적 확대 주문]

머니투데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일 경기도 화성사업장에서 열린 전자 관계사 사장단 회의에 참석했다. 사진 왼쪽부터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김기남 삼성전자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 부회장, 정은승 삼성전자 DS부문 파운드리 사업부장(사장)/사진출처=삼성전자 블라인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그룹 차원의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5G(5세대 통신)와 자동차 전장(전자장비)용 MLCC(적층세라믹캐패시터) 사업을 직접 점검하는 전략적 행보에 나섰다. 차세대 스마트폰과 자율주행차에 탑재되는 이 부품들은 삼성전기의 핵심사업이다.

삼성전기가 전장용 MLCC 사업을 확대하면서 지난 1년간 1200명 이상을 신규채용한 점에 비춰볼 때 이번에는 '5G발(發)' 대규모 채용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업계 안팎에서 나온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이날 삼성전기 수원사업장을 찾아 이윤태 사장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부회장은 5G와 전장용 MLCC 중심의 보고를 받고 경영진에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장기 투자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부회장의 올해 첫(1월3일) 현장 경영행보가 수원사업장 5G 네트워크 통신장비 생산라인 가동식인 만큼 이날 간담회의 화두도 5G 사업 전반이었다는 후문이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달 일본을 방문해 현지 양대 통신사(NTT도코모, KDDI) 경영진과 5G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삼성전기는 4월 '세계 최소형 5G 안테나 모듈'을 개발해 글로벌 경쟁사를 긴장시켰다. 이 부품을 만든 모듈솔루션사업는 현재 1500명이 채 안되는 수준(1494명)으로, 삼성전기 3개 사업부 중 가장 작은 사업부다.

통신모듈과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을 만드는 삼성전기 입장에서는 화웨이 공백을 틈타 5G 시장 선점을 위해 공격적인 투자가 필수다. 4G(4세대 통신) 기술에 기반한 글로벌 네트워크 시장은 화웨이와 노키아, 에릭슨 등 '빅3'가 주도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번 이 부회장의 5G 사업 점검과 맞물려 해당 사업부 덩치가 커질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실제 삼성전기는 지난해 전장용 MLCC 드라이브를 거는 동시에 부산사업장 5공장을 '전장전용'으로 증설하고 컴포넌트솔루션사업부에서 1221명을 대거 채용했다.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에 따르면, 5G시장은 올해 상용화를 시작으로 2024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40% 이상이 가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5G 스마트폰은 2023년 5억대 이상 보급될 것으로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추산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TV가 브라운관에서 디지털로 바뀔 때 삼성전자는 당시 업계 1위인 일본 소니를 꺾고 글로벌 TV시장 1위를 현재까지 수성하고 있다"며 "이 부회장은 5G 기술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앞두고 5G 모듈 등 핵심 부품에 대한 투자와 경쟁력 강화 방안을 챙겼을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정혁 기자 utopia@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