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수돗물 유충 사태

19일만에야...인천시 '붉은 수돗물' 뒷북대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민들 집회·시위한 다음날

박남춘 시장 사과·개선 약속

사태 장기화로 시달린 주민들

무능력한 행정에 분통 터트려

어제 150개 학교 급식중단도

인천시가 ‘붉은 수돗물’ 사태가 발생한 지 19일 만에 뒤늦게 대책을 내놓아 시정 불신과 행정 무능력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시민들이 생활용수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150여곳의 학교 급식마저 중단된 상황에서 급기야 수천명의 시민이 모여 집회까지 여는 등 사태가 악화하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부랴부랴 사과를 하고 대책 마련에 나서 전형적인 ‘뒷북행정’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17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 서구와 영종도 강화군의 붉은 수돗물 사태와 관련해 “모든 상황에 대비한 철저한 위기대응 매뉴얼을 준비해놓지 못한 점, 초기 전문가 자문과 종합대응 프로세스가 없었던 점을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이어 “피해 초기, 적수나 탁수가 육안상 줄어드는 과정에서 수질검사 기준치에만 근거해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주민들께 설명을 드려 불신을 자초했다”고 인정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 시장은 이번 수돗물 사태 대응 과정에서 부실했다는 점을 인정하고 행정 시스템 개선 등을 약속했다. 우선 18일까지 1단계 조치로 정수지 청소와 계통별 주요 송수관 수질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19∼23일에는 이물질 배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계통 송수관의 방류와 함께 주요 배수지의 정화 작업과 배수관 방류를 시행할 계획이다. 오는 24∼30일에는 3단계 조치로 송수관과 배수지 수질 모니터링을 하고 수질 개선 추이에 따른 주요 배수관·급수관의 방류를 지속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전문가그룹 분석에 따르면 이런 단계별 조치를 통해 이번주 내에는 가시적인 수질 개선이 이뤄지고 6월 하순에는 기존 수질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붉은 수돗물 사태로 피해를 봤던 주민들은 인천시의 조치 미흡으로 이번 사태가 장기화했다며 입을 모아 인천시 행정의 무능력을 질타하고 있다. 전상덕 검단주민총연합회 부회장은 “사태 발생 후 19일이 지난 뒤에야 대책을 발표하는 것은 늦어도 너무 늦었다”며 “인천시의 무능함에 주민들이 분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붉은 수돗물 피해가 심한 인천 서구 지역 주민 2,000여명은 전날 인천시 서구 마전동 완정사거리에서 집회를 열고 인천시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날 현재 인천 서구, 영종, 강화 등 적수로 피해를 본 학교는 전체 153개교 가운데 150개교로 정상 급식을 중단했다. 서구가 111개교로 가장 많고 영종 24개교, 강화 15개교 등이다. 이 중 88개 학교는 생수 급식, 14개교는 급수차, 7개교는 외부급식, 40개교는 소시지·과일·빵·우유 등으로 대체급식을 하고 있다. 단축수업을 하는 학교(1개교)도 있다.

한편 정부도 주민들의 항의 민원이 빗발치자 관련 부처 장관이 잇따라 현장을 방문해 전형적인 ‘뒷북행정’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이날 서구 공촌정수장을 방문하고 18일 사고 원인과 수돗물 정상화 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한편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전날 인천시교육청을 방문해 “학교 급식 및 식중독 예방 등 학생 안전관리가 피해 학교들이 당면한 문제”라며 “인천교육청에 특별교부금을 긴급 지원하는 등 안정적인 학생안전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