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수돗물 유충 사태

붉은 수돗물 20일째, 분노한 인천시민 '강경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민단체 4곳, 비대위 꾸려 입장발표

"초기 대응부터 인천시 행태 규탄"

보상기준, 무제한 생수공급 등 요구

이데일리

인천수돗물적수사태 비상대책위원회 임원들이 18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 비대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천=이데일리 이종일 기자] 인천시의 ‘붉은 수돗물’ 부실 대응에 분노한 시민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강경하게 대응하고 나섰다.

인천 수돗물 피해지역 주민단체인 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 루원발전대표연합회, 검단아파트총연합회, 청라국제도시총연합회로 구성된 인천수돗물적수사태 비상대책위원회는 18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시를 규탄하며 보상방안을 요구했다.

비대위 임원들은 “이번 수돗물 재난사태와 관련해 초기 대응부터 현재까지 인천시의 모든 행태를 규탄한다”며 “지역 주민을 대표해 강한 분노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남춘 인천시장은 수돗물 사태가 발생한지 무려 19일째인 지난 17일 공개 석상에서 입장을 발표했다”며 “그러나 박 시장의 발언에서 이번 사태의 명확한 원인이나 명쾌한 대책은 찾아볼 수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각 지역 주민단체를 만나 설명하고 소통해도 모자란 상황에 박 시장은 마치 도망다니듯 주민 대표들과의 만남을 피하기에만 급급했다”며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도 부시장의 뒤에 숨어 책임을 회피했다”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인천시는 미추홀참물 등 주민들이 필요한 물을 피해지역에 지원하고 있다고 했지만 지난 13일 기준 이 물을 지원받은 곳은 서구와 영종지역 전체 25개동 중 단 7개동으로 전체 피해지역의 28%에 불과했다”며 “나머지 지역은 단 1병의 생수도 제공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또 “인천시는 생수 지원 등 면피용 성과발표만 하고 아파트단지의 저수조 청소에 대한 횟수나 지원금액 등의 기준조차 아직까지 마련하지 않았다”며 “개별적으로 구매한 음용수 비용 지원기준도 정하지 못해 시민을 재차 실망시켰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인천 서구, 중구 영종, 강화지역 초등학교의 수돗물 이물질이 마스크와 거즈에 걸러진 모습. (사진 = 인천시교육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원들은 “박남춘 시장은 이번 수돗물 재난사태에 대한 책임범위를 명확히 밝히고 불통의 문 밖으로 나와 주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라”며 “일부 지역에 국한된 생수 공급이 아닌 피해지역 전체에 무제한 생수 공급을 약속하고 피해보상 방안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지원계획을 발표하라”고 촉구했다.

또 “민관합동조사단의 실질적 기능을 위해 피해지역 주민 대표가 참여하도록 범위를 확대하고 박 시장 또한 이 조사단에 직접 참여해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이번 수돗물 재난사태의 원인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 사태를 발생하게 한 원인자와 안일한 대응으로 시민의 분노를 촉발하게 한 책임자를 엄정하게 처벌하라”며 “문제가 발생된 시설은 완벽하게 교체하고 보수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인천시가 시민들의 생명권이 걸린 이 문제에 대해 재차 안일하고 소극적인 행정을 지속할 경우 비대위는 독자적인 활동을 통해서라도 이번 사태를 조사해 모든 원인과 책임을 명백히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이날 인천 수돗물 적수(붉은 물) 사태에 대한 정부원인조사반의 중간 조사결과 발표를 통해 “인천시의 무리한 수계전환(물길 변화)이 원인이었다”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