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이슈 홍콩 대규모 시위

‘우산혁명 주역’ 조슈아 웡 “촛불집회 영향 커…홍콩 민주화 지켜봐 달라”

댓글 9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산혁명 주역’ 조슈아 웡, 경향신문 전화 인터뷰

조기 출소 날 바로 시위 합류…“캐리 람 행정장관 사퇴 투쟁, 중국 꼭두각시는 필요 없어

완전한 민주화·자유 꿈꾼다…우리도 한국처럼 평화 집회”

경향신문

2014년 홍콩의 ‘우산혁명’을 주도한 조슈아 웡이 2017년 6월 애드미럴티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를 하며 ‘우산혁명’의 상징인 노란 우산을 들고 있다. 홍콩 | 박은경 특파원 yama@kyunghyang.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콩 ‘우산혁명’을 이끈 청년 지도자 조슈아 웡(黃之鋒·23)이 ‘범죄인 인도 조례’(송환법) 반대를 위한 ‘검은 옷 시위’에 합류했다.

웡은 2014년 행정장관 직선제를 요구하는 민주화운동인 ‘우산혁명’을 이끈 핵심 인물이다. 2017년에는 노벨 평화상 후보로도 지명됐다. 우산혁명 당시 집회 해산 명령을 거부한 혐의로 징역 2월을 선고받은 그는 지난 17일 조기 석방됐다. “캐리 람 행정장관이 사퇴할 때까지 투쟁하겠다”는 그는 석방 후 가장 먼저 애드미럴티의 시위 희생자 추모 집회를 찾았다. 5년 전 ‘미완의 혁명’을 시민들의 힘으로 완수해낼 생각이다.

웡은 18일 경향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일어난 촛불집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인들이 평화로운 촛불집회로 정권을 바꾼 것을 보았다”면서 “한국이 매주 토요일 광화문에서 촛불을 들고 모였던 것처럼, 행정장관이 물러나기를 바라는 홍콩인들은 매주 일요일 (입법회와 정부청사가 있는) 애드미럴티에서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그의 수감생활 동안 홍콩 시민들은 단결된 힘을 과시했다. 지난 9일 103만명(주최 측 추산)이 거리로 나와 “송환법 반대”를 외쳤고 12일 시위로 송환법 개정안 심의가 연기됐다. 16일 200만 시민들의 힘으로 송환법은 사실상 ‘자연사’했다.

람 장관 “시민들 외침 들었다, 가장 진심 어린 사과”…

송환법 완전 철회·사퇴는 거부


시민들은 이제 람 장관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간접선거로 뽑힌 ‘중국 중앙정부의 꼭두각시’는 필요 없다고 말한다. 이는 홍콩인들이 뽑지 않은 지도자는 용납하지 않겠다던 우산혁명과도 연결된다. 5년 전 우산혁명 시위대가 79일 만에 강제 해산될 때 웡은 “다시 돌아오겠다”고 약속했다.

웡은 “우산혁명이 강경진압으로 무산됐음에도 홍콩 시민들은 굴하지 않고 다시 나와 송환법 반대를 외쳤다”면서 “홍콩인들이 공산당을 두려워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고 했다. 또 “인구 744만명의 홍콩에서 200만명이 시위에 참여했다는 것은 민심을 보여준다”면서 “람 장관의 정치인생은 이제 끝나야 한다”고 했다.

그는 홍콩이 중국 본토와 달리 민주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라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웡은 “17일 참여한 집회에서 홍콩인들은 (본토인들과) 정말 다르다는 것을 봤다”면서 “중국이 홍콩에 적용하는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는 근본적인 사기”라고 했다. 중국은 ‘한 국가 두 체제’를 약속한 50년 동안 ‘홍콩의 중국화’를 향해 가고 있지만 홍콩은 근본적으로 다른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웡은 자신의 최종 목표를 “홍콩이 하나의 완전한 민주·자유 지역이 되는 것”이라고 했다.

웡은 람 장관 사퇴 가능성에 대해 “시민들의 강한 반대에 직면하면 정부도 결국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라며 “우리의 단결된 힘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말했다. 언제까지 시위를 이어갈 생각이냐고 묻자 “정부 대응에 달렸다. 나에게 묻지 말고 정부에 물어봐 달라”면서 끝까지 싸우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끝으로 한국 독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물었다. 웡은 “홍콩과 한국은 거리가 떨어져 있지만 민주·자유·인권 국가인 한국의 친구들이 홍콩의 민주화 실현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주기 바란다”며 “이제 홍콩 차례”라고 했다.

한편, 람 장관은 18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시민들의 외침을 들었다. 가장 진심 어린 사과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송환법에 대해 “사회 갈등이 완전 해소되지 않는 한 재추진하지 않겠다”며 완전 철회에는 선을 그었다. 사퇴 여부를 두고도 “제2의 기회를 얻길 원한다”며 거부했다.

베이징 | 박은경 특파원 yama@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