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北어선 삼척부두에 접안, 주민이 신고… 軍은 몰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北 소형목선 침투땐 포착 불가능 상황
“경계태세 허점·해명 안이” 비판 고조
北 4명 중 2명 귀환… 2명은 귀순 의사
서울신문

11일 오후 1시쯤 동해상에서 해군에 구조된 북한 어선의 모습. 2019.6.11합동참모본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5일 기관 고장으로 표류하다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강원 삼척 앞바다까지 떠내려온 북한 어선이 알고 보니 삼척항 방파제 인근 부두에 거의 접안한 상태에서 발견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삼척항 내 주민들의 112 신고로 군 당국이 인지했고, 일부 주민들은 이들과 대화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척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18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어민들이 조업을 마치고 잡은 고기를 방파제에서 손질하던 중 북한 어선을 발견했다”며 “112에 먼저 신고했고 곧이어 경찰차가 와서 선원들을 차에 태워 떠났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당시 군인들의 모습은 보지 못했다”며 “나중에 군인 몇 명이 현장을 잠깐 지나가는 모습만 봤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북한 선원들과 주민 간 접촉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에 따르면 선박을 향해 “어디서 왔느냐”고 묻자 “북한에서 왔다”는 답변이 돌아왔다고 한다. 이에 우리 주민은 “북한 말투를 쓰는 수상한 사람이 있다”는 신고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척항에 정박한 북한 선원 중 일부가 육지로 내려와 우리 어민에게 북한 말씨로 “북에서 왔으니 휴대전화를 빌려 달라”고도 했다.

이날 군 당국도 해경으로부터 ‘삼척항 방파제 인근에서 북한 어선이 발견됐다’는 상황을 전달받았다고 확인했다.

앞서 전날 군 당국은 북한 어선의 남하를 인지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해안 레이더 특성상 목선 형태 소형 배는 인식하기 어려운 데다 당시 파고가 1.5~2.0m로 높아 파악이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먼 해상이 아닌 방파제에 떠내려올 때까지 군이 인지하지 못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경계 태세 허점은 물론 해명마저 안이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군 당국은 현장에 병력이나 감시 카메라가 없었고, 소형 목선이라 해안 감시 레이더에도 잡히지 않아 방파제 앞 포착도 못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해명대로라면 북한 군이 소형 목선을 타고 침투 시 포착이 불가능하다는 얘기가 된다.

합참이 당초 브리핑에서 ‘방파제’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은 것 역시 책임 축소 의혹이 나온다. 군 당국은 “삼척항 인근도 방파제 인근에 포함되는 개념”이라고 해명했다.

어선에 타고 있던 4명 중 30대와 50대 남성 2명은 이날 판문점을 통해 북한으로 돌아갔다. 나머지 2명은 귀순 의사를 밝혀 남한에 남았다. 통일부 관계자는 “본인들 자유 의사에 따라 인도주의 원칙으로 처리한 것”이라고 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