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北 목선 귀순’ 軍 경계실패 축소 의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접안 알려진 후도 내용 안 밝혀 / 정경두 “엄정하게 책임 물을 것”

지난 15일 강원도 삼척항에서 발견된 북한 어선이 엔진을 가동해 부두에 접안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경계 실패’ 논란과 더불어 정부와 군이 사건을 축소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19일 경계 작전 실패를 강하게 질책하고 엄정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세계일보

정경두 “北어선 노크 귀순, 책임 물을 것” 정경두 국방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19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정 장관은 앞서 지난 15일 북한 어선의 강원 속초항 접안 과정에서 우리 군 당국이 경계에 실패한 것과 관련해 “책임질 부분이 있다면 지겠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은 ‘해상판 노크 귀순’으로 불리는 이번 사건에 대해 정부의 국방 무력화가 부른 참사로 규정하고, 정 장관의 사퇴를 요구했다. 남정탁 기자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에서 “경계작전에 실패했다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며 “책임져야 할 부분이 있다면 엄정하게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 당국은 북한 어선이 지난 15일 삼척항에 접안할 때까지 이를 인지하지 못했으며, 이후 실체적 내용을 밝히지 않으면서 사태를 키웠다.

세계일보

지난 15일 북한 선원 4명이 탄 어선이 연안에서 조업 중인 어민의 신고로 발견됐다는 정부 당국의 발표와 달리 삼척항에 정박했다고 KBS가 18일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 어선이 삼척항 내에 정박한 뒤 우리 주민과 대화하는 모습. KBS 제공


국가정보원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GPS 분석을 의뢰한 결과 북한 선원들이 어로 활동을 했던 것은 맞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이혜훈 국회 정보위원장에 따르면 국정원은 국회 보고에서 “몸집이나 체격, 어깨 근육의 발달 상태 등을 볼 때 낡은 전투복 상의만 입고 온 고령의 선원은 전투훈련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 어선은 지난 9일 함경북도 경성 일대에서 25∼26척의 선단을 결성해 출항하여 12일 울릉도를 목표로 남하했다. 위장조업을 하다가 북방한계선(NLL)을 넘었으며, 13일 오전 6시쯤 울릉도 동북방 약 56㎞ 해상에서 정지했다. 이후 기상 악화로 표류한 뒤, 14일 오후 9시쯤 삼척 동방 3∼6㎞ 해상에서 엔진을 끄고 대기했다가 이튿날 오전 6시20분 삼척항 방파제 인근 부두 끝부분에 접안했다. 30분 뒤 나온 주민이 이들을 발견해 112에 신고를 했다. 군 관계자는 “어선에 탄 4명은 모두 민간인으로, 이 중 2명은 처음부터 귀순 의도를 갖고 출발했다고 진술했다”며 ”나머지 2명은 본인 의사로 북한으로 송환됐다”고 설명했다.

자유한국당은 “9·19 남북군사합의로 군의 경계태세가 무력화됐기 때문”이라며 정 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박수찬·곽은산 기자 psc@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