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삶과 추억] “공부해서 남 주자”…창의교육 한동대 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영길 한동대 초대 총장

미국 NASA 발명상 두 차례 받아

무감독 양심시험, 기숙 대학 도입

중앙일보

김영길. [연합뉴스]


‘공부해서 남 주자’는 슬로건으로 인성교육에 앞장선 김영길(사진) 한동대 초대 총장이 30일 오전 3시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1세다.

1939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김 전 총장은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주리주립대에서 금속공학 석사, 렌셀러폴리테크닉대에서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항공우주국(NASA) 루이스연구소 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재료공학과 교수, 한국창조과학회 초대 회장을 지냈고, 2012년부터 유엔아카데미임팩트 한국협의회장을 지냈다.

김 전 총장은 1976년과 1981년 두 차례에 걸쳐 미국 NASA 발명상을 받았다. 풍산금속과 협력해 발명한 반도체 리드 프레임 ‘PMC-102’ 합금 제조기술은 우리나라 최초의 ‘선진국 기술 수출 1호’ 기록으로 남아 있다. 국민훈장 동백장, 세종문화상, 올해의 과학자상, 한국기독교선교대상 교육자 부문, 한국기독교 학술상, 전문인 선교대상 등도 수상했다.

그는 1995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경북 포항에 있는 한동대 초대 총장으로 재직한 후 2016년 6월부터 한동대 명예총장을 맡았고, 17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과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과학기술분과위원장을 역임했다.

한동대 초대 총장에 취임한 후에는 ‘공부해서 남 주자’ ‘Why not change the world?’(세상을 변화시키자)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전인교육에 힘썼다.

김 전 총장은 혁신적인 커리큘럼과 기독교 정신에 기반을 둔 새로운 교육모델을 제시했다. 한동대에서 개교 때부터 시행 중인 무감독 양심시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RC) 등이 대표적이다.

빈소는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이고, 발인(천국 환송 예배)은 2일 오전 7시 서빙고 온누리교회와 같은 날 오후 5시 한동대 그레이스스쿨에서 열린다. 유족은 부인 김영애씨와 아들 호민(스파크랩 공동대표)씨, 사위 박병희(미국 파란아카데미 대표)씨, 며느리 이정민(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단원)씨 등이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