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100만명 민노총, 총파업 참여는 1만2000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탄력근로제 저지 내세웠지만 저조

민주노총이 18일 '탄력근로제 저지' '최저임금 1만원 공약 이행' 등을 내걸고 총파업을 벌였지만 참여 인원이 저조해 맥없이 끝났다. 고용노동부가 집계한 총파업 참가 인원은 1만2000여명으로 전체 민노총 조합원의 1% 수준이다.

이날 오후 2시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선 민노총 조합원 5000여명이 모여 파업을 위한 집회를 벌였다. 같은 시각 열리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를 겨냥했다. 민노총은 이날 국회가 논의한 탄력근로제가 근로자의 장시간 노동과 임금 삭감을 초래한다며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대통령은 약속을 지켜라' 등 플래카드를 내걸고 "앞으로 민주노총의 모든 사업 방향은 문재인 정부의 기만적 노동정책 폭로와 투쟁일 것이며 노정 관계는 전면적인 단절로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고용부에 따르면 이번 총파업에 참여한 인원은 현대중공업·대우조선 등 금속노조 사업장 50여곳의 1만2000여명이다. 지난해 11월 벌인 총파업에는 금속노조 최대 조직인 현대·기아차노조에서만 7만명 이상이 참여하는 등 총 9만명이 참여했다. 이번 파업은 참가자가 그보다 7분의 1 이상으로 줄어들었다. 완성차 업체들이 아직 각자 개별적으로 사측과 교섭 중인 데다 노조원들의 호응도 적어서 노조 전임자와 대의원 등 간부들만 참여했다.

이날 민노총은 "오늘 총파업은 2차, 3차 총파업으로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라며 "무수히 많은 노동자가 국회와 청와대 앞으로 집결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노동계에선 실제 민노총 말대로 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민주노총이 벌인 전국 단위 총파업은 모두 '뻥파업'으로 끝났다. 명분 없는 '정치 파업'을 벌이다 보니 세 차례 파업 모두 전체 조합원 100만여명 중 10% 미만이 참여했다. 올해 3월엔 3200명이 파업하는 데 그쳤다.

[손호영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