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원포인트 투자 레슨] 한일 경제갈등 장기화땐 車·음식료·유통株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Q 일본과의 전례 없는 경제 갈등으로 증시에도 긴장 수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은 있는지, 일본계 금융자금 이탈로 외환위기가 올 가능성은 없는지가 궁금합니다. 아울러 국내 증시에 업종별로 미칠 영향과 투자 전략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A 수출규제를 둘러싼 한일 갈등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 중재 역할을 담당했던 워싱턴이 이번에는 불개입으로 일관하고 있는 데다, 외교와 경제 문제는 따로 취급해 왔던 양국이 이번에는 외교와 경제 문제를 엮어서 다루기 시작했다는 것이 이유이다.

예를 들면, 일본은 기본적으로 자원 빈국(貧國)이라 수출입에 있어 타국과 긴장관계를 유도하지 않는다는 것이 오랜 원칙이었는데, 21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핵심 소재를 외교적 무기로 삼았다. 한국은 아직 구체적인 조치를 내놓지는 않았지만, 일본이 추가 규제를 하면 바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일본계 자금 이탈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는데, 단기차입 비중이 크게 감소한 데다 전체 금융사 차입 및 단기차입에서 일본계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과거보다 큰 폭으로 감소해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2018년 기준 일본계 국내 자금 유입 규모는 총 611억달러이며, 국내에 유입된 외국계 자금의 8.1%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 단기차입금은 114억달러로 전체 해외 단기차입금의 7.7% 수준이다. 이는 과거에 비해 크게 감소한 수치다.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에는 일본계 차입 비중이 금융사의 경우 20%, 단기차입의 경우 19%에 달했는데 현재는 각각 14.8%, 7.7%에 불과하다.

일본의 수출 규제와 관련해 현재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업종은 항공과 반도체이며, 디스플레이 소재 또한 영향이 예상된다. 항공 업종에서 일본 노선 매출 비중은 11~26% 수준으로 국제선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일본 여행 수요 감소에 따른 타격이 예상된다. 반도체의 경우 일본 수입 의존도가 높은 소재들이 국산품으로 대체가 어려워 공급을 받지 못할 시 생산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 소재도 수입 의존도가 높아 영향은 예상되지만 국산으로 대체 가능한 부분이 많아 상대적으로 덜 우려되는 상황이다.

만약 한일 양국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고 일본이 추가적인 수출규제를 시행할 경우 자동차, 음식료, 유통 업종에 영향이 일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종은 지속된 자동차 부품 국산화 노력으로 생산에는 문제가 크지 않지만 수소차에 필요한 화학소재와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음식료 및 유통 업종은 롯데 계열사들이 일본 기업들과 설립한 합작법인에 대한 지분법 인식에 의해 실적에 단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반면, 철강은 일본 수입품에 대한 대체 수요로 일부 수혜를 입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 실적에 연결로 반영되는 포스코케미칼의 이차전지 극재의 수혜가 예상된다.

※ 주식투자 전문가에게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매일경제 증권부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투자전략부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