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하노이는 달달한 '진짜장'이 대세... 호치민에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하노이(베트남)=정혜윤 기자] [편집자주] K팝과 K푸드, K뷰티, K패션 등 'K스타일'이 전 세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동남아시아는 K스타일의 신시장으로 떠올랐고, 사드사태 이후 주춤하던 중국에서도 회복세가 본격화되고 있다. 미국 등 선진국 시장에서도 우리 기업들의 도전은 지속되고 있다. 기존 교민이나 일부 마니아층을 겨낭한 소량 수출을 벗어나 맞춤형 시장분석과, 현지 생산 및 판매기반 확충을 통해 K스타일의 글로벌 대중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전 세계 각국에서 맹활약하는 K스타일 기업들의 노력과 성과를 생생한 현장 취재를 통해 조명해본다.

[세계로 비상하는 K스타일⑪오뚜기] 오뚜기 지난해 박닌공장 준공, 라면 매출 전년대비 2배 가량 증가

머니투데이

지난달 26일 베트남 하노이 시내 롯데마트에 오뚜기 제품들이 진열돼 있는 모습./사진=정혜윤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26일 베트남 하노이 시내에 위치한 롯데마트에 들어서자 큰 기둥 네 개면을 둘러싼 친숙한 제품들이 눈을 사로잡았다. 노란 바탕에 빨간 글씨로 '오뚜기 베트남(OTTOGI VIETNAM)'이라고 쓰여 있고 그 아래에는 한국이라고 착각할 정도로 많은 라면, 미역, 소스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진열됐다. 오뚜기가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펼치고 있는 '오뚜기 옐로우 존'의 모습이다.

오뚜기는 베트남에서 라면, 소스, 3분 카레, 피자 등 250여개 제품을 판매한다. 오뚜기 관계자는 "오뚜기 많은 제품군 중 최근 라면이 잘 나가고 있다"며 "하노이에선 달달한 짜장라면이, 호치민에서는 열라면 등 매운 라면이 인기있다"고 설명했다.

라면은 진라면, 열라면, 북경짜장 등 18가지 종류가 있었다. 현지 입맛에 맞춘 김라면, 미역라면, 소고기라면도 따로 생산해 판매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20g의 큰 사이즈가 주로 판매되는 반면 베트남은 80g의 작은 사이즈가 많이 나간다.

머니투데이

베트남 하노이 시내 한 마트에 마련된 오뚜기 제품 시식 코너에서 사람들이 제품을 맛보고 있다. / 사진제공=오뚜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07년 11월 베트남에 진출한 오뚜기는 2010년 1월 현지 공장을 준공했다. 오뚜기의 상징인 케첩, 마요네즈를 시작으로 다양한 제품을 이곳에서 생산해 판매하고 있다. 2013년 약 80억원이었던 베트남 매출은 호치민, 하노이, 다낭 등 거점 도시를 중심으로 판매지역을 넓혀가면서 2014년 약 170억원으로 큰 폭으로 성장했다. 2017년에는 매출액 300억원을 기록했다.

오뚜기는 베트남 이외에 전 세계 30여개국에 라면, 카레 등 다양한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오뚜기의 연간 수출실적은 1000억원에 달한다. 이미 포화된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다. 이 중 베트남은 미국, 중국, 뉴질랜드 등 현지법인을 두고 있는 해외 시장에서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내는 지역이다.

머니투데이

오뚜기 베트남 박닌공장 전경 / 사진제공=오뚜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라면 매출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오뚜기는 2015년부터 라면 공장 설립을 준비했고 지난해 하노이 인근 박닌공장을 준공했다. 박닌공장은 분당 225식 봉지면 생산라인 1기를 갖추고 있다. 진라면을 비롯 진짜장, 북경짜장 등 짜장라면이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베트남 라면 매출은 전년 대비 100% 이상 증가했다.

오뚜기 관계자는 "베트남 전체 라면 시장 규모가 1조1000억원 정도로 추정되는 데, 한국보다 가격대가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개수로 치면 굉장히 큰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오뚜기는 베트남 B2B(기업간거래) 시장에도 주목한다. 베트남은 마트, 리조트, 병원, 학교 등을 많이 짓고 있는 데, 이곳에 업소용 소스 등을 공급하는 것이다. 실제 업소용 사과 식초, 마요네즈, 케첩 등의 매출이 최근 2~3배씩 가파른 속도로 늘고 있다.

오뚜기 관계자는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매장 시식행사는 물론, 현지업체를 통한 다양한 온라인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해외 소비자들에게 오뚜기 라면의 진한 맛을 알리고 있다"며 "올해 라면, 소스 등 다양한 라인업을 바탕으로 매출액 500억원을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노이(베트남)=정혜윤 기자 hyeyoon12@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