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일본대사관 앞서 “노(NO) 아베” 수출규제 규탄 집회 열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거사 사죄 대신 무역 보복 용서 안 돼” 비판

일본 군국주의 상징 ‘욱일기’ 찢는 퍼포먼스도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 조처라며 대 한국 수출규제를 단행한 일본 아베 신조 정부를 비판하는 시민들의 주말 촛불집회가 열렸다.

사단법인 겨레하나, 민주노총, 정의기억연대 등 시민사회 단체 102개가 참여한 민중공동행동은 20일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민 10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경제보복 평화위협 아베 규탄 촛불’을 열어 일제 강제징용 과거사에 대한 사죄와 배상을 거부하고, 무역 보복으로 답한 아베 정권을 강력히 규탄했다.

이날 집회는 일본 전범 기업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강제동원 피해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하다 지난 14일 숨을 거둔 고 이영숙 할머니(89) 등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를 추모하는 묵념으로 시작했다. (▶관련 기사 : [내기소] 미쓰비시가 ‘강제징용 교섭’ 거부…또 한분이 별세했다) 사회를 맡은 윤희숙 통일열차 서포터즈 대표는 “우리 국민은 일본의 군국주의를 부활시켜 정치적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아베 총리의 시도를 용서할 수 없다. 이 땅에 완전한 평화를 정착시키고, 군국주의 부활을 꿈꾸는 아베 정부에 경고를 보내기 위한 자리”라고 집회 취지를 설명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아베 정부에 동조하는 일부 언론과 정당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김언경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최근 〈조선일보〉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일본은 전쟁범죄에 대한 배상을 끝냈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을 제대로 따지지 않은 채 그대로 전하는 매국언론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시민들의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감정적’이라고 꾸짖는 조선일보는 어느 나라 언론이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중당 김종훈 의원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을 규탄하는 결의안이 5건이나 올라왔지만 ‘타협해야 한다’, ‘차라리 구걸할 때다’라는 주장 속에 통과되지 못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기회에 정치·경제·군사 분야에서 불평등한 한-일관계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에 강제징용 노동자 상을 세우고 있는 민주노총은 다음 주부터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홍보 활동과 역사교육을 벌일 계획을 밝혔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1930년대 말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평양·용산·영등포·대전역을 거쳐 부산에 모인 청년들과 가장들이 일본 시모노세키로 가는 관부연락선을 타고 강제징용을 끌려가 피눈물을 쏟으며 일본의 전쟁을 위해 노동을 착취당했다”며 “다음 주부터 강제징용 노동자들을 실었던 철도와 지하철역서 아베 정부를 규탄하는 선전활동을 시작하고, 학생들에게 지난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특별수업을 단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집회에선 “강제징용 사죄하라”, “경제보복 철회하라”, “아베를 규탄한다”, “군국주의 중단하라” 등의 구호가 등장했다. 발언이 끝난 뒤 참가자들은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대형 욱일기를 찢는 퍼포먼스를 끝으로 1시간여의 집회를 마무리했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 뉴스 ‘영상+’]
[▶한겨레 정기구독] [▶[생방송]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