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7 (금)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기대수명 ‘OECD 5위’인데 “건강하지 않다” 생각하는 한국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82.7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상위권에 속하지만 스스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한국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발표한 ‘OECD보건통계 2019’ 주요 지표 분석 결과를 21일 공개했다.

OECD 보건통계는 각국의 건강 수준, 건강 위험요인, 보건의료자원, 보건의료이용, 장기요양 등 보건의료 전반의 통계를 담은 데이터베이스다. 회원국의 보건수준을 동일한 기준에서 비교할 수 있어 국가별 수준 비교와 각국의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OECD는 회원국의 통계를 제출받아 매년 갱신하는데 이번에 발표된 자료는 주로 2017년을 기준 시점으로 한다. 다만 각 국의 통계작성 기준에 따라 이용 가능한 가장 최근 자료를 사용해 일부 통계는 나라별로 시점이 다르다.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OECD 국가 가운데 5위로 기록됐다. 남자 79.7년, 여자 85.7년이다.1위인 일본(84.2세)보다 1.5세 낮지만 독일(81.1세), 프랑스(82.6세), 미국(78.6세)보다 높다. OECD 국가 평균(80.7년)을 훨씬 웃도는 ‘장수 국가’다. 암 등 주요 질환의 사망률도 대체로 OECD 평균보다 낮았다.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률은 165.2명, 순환기계 질환 사망률은 147.4명, 호흡기계 질환 사망률은 75.9명, 치매 사망률은 12.3명으로 나타났다. OECD 평균은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률 200명, 순환기계 질환 사망률 279.7명, 호흡기계 질환 사망률 66명, 치매 사망률 24.3명 등으로 한국에 비하면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OECD 내에서 날씬한 편에 속하지만 갈수록 과체중ㆍ비만 인구가 늘고 있다. 키와 몸무게의 측정에 의해서 ‘과체중 및 비만’으로 판명된 15세 이상 한국 국민은 33.7%다. 일본(25.9%)에 이어 두 번째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은 2007년 31.0%, 2012년 31.8%, 2017년 33.7%로 점차 증가 추세다. 남미 지역인 칠레(74.2%)와 멕시코(72.5%)는 국민 10명 중 7명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

[그래픽] OECD 주요국 기대 수명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21일 보건복지부의 'OECD 보건통계 2019년'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82.7년(남자 79.7년, 여자 85.7년)으로 OECD 국가의 평균(80.7년)보다 2년 길었다. 기대수명이 가장 긴 일본(84.2년)과는 1.5년 차이가 났다. zeroground@yna.co.kr (끝)




이렇게 우리나라의 건강 지표는 전반적으로 좋은 편이지만, 우리 국민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건강상태는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한국(29.5%)이 OECD에서 가장 낮았으며, 일본(35.5%)이 그 다음으로 적었다. 장수 국가에 속하는 한ㆍ일 모두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서는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이다. 반면 호주(85.2%), 미국(87.9%), 뉴질랜드(88.2%), 캐나다(88.5%) 등 오세아니아와 북미 지역 국가에서는 조사 대상 10명 중 9명이 ‘본인은 건강하다’고 응답했다.

우리나라의 의료 환경은 OECD 국가와 비교해서 임상 의사(진료보는 의사), 간호 인력(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인적 자원은 부족하고 병상, 의료장비(MRI, CT 스캐너) 등 물적 자원은 과다한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요양병원 등이 늘어나면서 병상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의 임상의사(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당 2.3명, 간호 인력은 인구 천 명당 6.9명으로 인적 자원이 OECD 국가 중에서 부족한 편에 든다. OECD평균은 인구 1000명당 임상의사 3.4명, 간호 인력 9.0명이다. 그런데도 병원의 병상은 인구 1000명당 12.3개로 OECD 평균(4.7개)의 약 2.6배에 이른다. 자기공명영상장치(MRI)와 컴퓨터단층촬영(CT) 보유대수도 OECD 평균보다 훨씬 많아 물적 자원의 보유 수준은 최상위권이다. 2017년 시준 병원의 병상 수는 인구 1000명당 12.3개로 일본(13.1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고, OECD 평균(4.7개)의 약 3배 수준이다.

의료 이용 빈도도 높다. 우리나라는 국민 1인당 의사 외래 진료 횟수는 16.6회로 OECD 국가 중 최상위권으로 기록됐다. 일본(12.6회)이 우리나라에 이어 두 번째로 1인당 외래 진료 횟수가 많고, 스웨덴(2.8회)과 멕시코(2.8회)가 ‘3회 미만’으로 가장 적었다. 입원 진료의 경우 전체 평균 재원 일수(18.5일)는 OECD 평균(8.2일)의 2배 이상이다. OECD 국가 중에서 일본(28.2일) 다음으로 길었다. 급성기 치료(생명이나 정상적 기능 위협하는 질병 치료) 환자의 평균 재원 일수(7.5일)는 OECD 평균(6.4일)에 근접했다. 요양병원 등의 사회적 입원이 늘면서 재원 일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