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 비극은 반드시 필요한가” 돌아오지 못한 전쟁의 증인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CJ문화재단 공동기획]

34)돌아오지 않는 해병

감독 이만희(1963년)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너희 둘만은 꼭 살아 돌아가서 전쟁의 증인이 돼라. 수많은 사람이 수많은 사람을 죽이고 죽었다고 … 인간은 반드시 전쟁이 필요한가를 물어봐라. 네 부드러운 미소를 보여다오.”(호랑이 분대장, 장동휘 분)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한 해병대원들은 폐허가 된 한 공장에 숨어 있는 인민군 색출작전을 실시한다. 부대원들은 적군과의 항전 속에서 엄마를 잃은 소녀 영희(전영선)를 구출해 함께 지낸다. 서울 수복 뒤 부대는 북진하고 크리스마스 이틀 전 외박을 나갔던 분대원들에겐 복귀 명령이 내려진다. 중공군이 밀려오는 전선에 투입된 이들은 하나둘 죽음을 맞고, 구원병을 요청하러 간 통신병은 부대원들의 생사를 묻는 영희에게 모두 무사하다는 거짓말을 한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을 다룬 최고의 전쟁영화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돌아오지 않는 해병>은 인천상륙작전, 시가전 그리고 인해전술을 쓰는 중공군과의 대규모 전투 장면을 스펙터클하게 연출한 것은 물론, 분대원들 간의 좌충우돌 브로맨스를 흥미롭게 배치했다. 전쟁고아 영희의 내레이션을 통해 전쟁의 비참함을 잘 드러내고, ‘소영웅’이라 할 수 있는 분대원 각각의 모습을 통해선 죽음에 대한 두려움, 전쟁에 대한 회의와 허무 의식을 표현했다.

이만희는 “감독이 되지 않았다면 직업군인이 되었을 것”이라고 했을 만큼 전쟁영화에 대한 애정이 깊었다. <돌아오지 않는 해병>은 그의 초기 출세작으로, 그가 만든 전쟁영화 11편 가운데 두번째 작품이다. 그는 반공 의식을 앞세우거나 적대적인 관계로 북한을 묘사하는 대신, 다양한 등장인물의 개성을 입체적으로 살려 액션, 드라마, 웃음 속에 전쟁의 비극성을 녹여냈다. 특히 이 영화에서 장동휘, 최무룡, 이대엽, 김운하, 장혁, 구봉서, 독고성 등 당대 최고의 배우들은 흑백의 시네마스코프 화면에 진한 전우애를 표현해 제1회 청룡영화상에서 ‘집단연기상’이라는 특별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근 국내 개봉판과는 다른 국외 개봉판을 한국영상자료원이 발굴했다. 국외판에는 삭제된 부분도 있어 길이는 더 짧지만 새로 촬영돼 덧붙여진 장면과 감독이 추가한 장면 등 15분가량의 추가된 내용이 있다고 한다.

심혜경/영화연구자·중앙대 전임연구원

※한겨레·CJ문화재단 공동기획

[▶동영상 뉴스 ‘영상+’]
[▶한겨레 정기구독] [▶[생방송]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