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반일(反日)만 지적하는 조선·중앙일보의 부왜(附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21일 방송서 조선·중앙일보 보도 문제 짚어

CBS노컷뉴스 최영주 기자

노컷뉴스

지난 21일 방송된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친일 비판에 꿈쩍 않는 조선·중앙의 역사관' 편 (사진=방송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가 일본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일본판 기사에 대해서 이례적으로 공개 비판 입장을 내놓았다. 이 같은 상황을 두고 "이례적일 만큼 한국 언론이 벌이고 있는 상황이 아주 이례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21일 방송된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친일 비판에 꿈쩍 않는 조선·중앙의 역사관' 편에서는 '친일'(親日) 비판이 거세짐에도 거듭 일본의 수출규제를 한국 정부 탓으로 몰고, 국내에서 일고 있는 '반일'(反日) 감정에 대해 지적하는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보도 문제를 짚었다.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 수출 규제 조치를 두고 우리 정부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며 결국 일본 경제에 더 큰 피해가 갈 것임을 경고한다며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이후 이틀간 '한국은 일본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중앙일보), '자존보다 생존이 먼저다'(조선일보), '일본 전후세대의 한국 공습'(중앙일보), '문 정부의 국가 경영능력 한계에'(조선일보) 등 조선일보와 중앙일보가 내놓은 관련 사설·칼럼이 20여 개에 달했다.

전반적인 칼럼과 사설의 논조에 대해 이날 방송에 출연한 역사학자 전우용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기본 전제는 항상 '이건 빨리 끝내고 수습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턱대고 일단 항복하고 보자는 논리를 계속하고 있다"라며 "저쪽에서 치밀하게 준비해서 공격했는데 우리는 대응 방법이 없다고 한다. 이것(일본의 공격)이 갖는 역사적 맥락에서는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 교수는 "안중근 의사 의거 이후, 세계정세를 모르고 한국의 무지한 건달이 아시아의 위인 이토 히로부미를 죽였다, 우리 빨리 가서 일본에 사과하자며 '진사사절단'(1909년 안중근 의사 의거 당시 일본에 대신 사죄하기 위해 친일파들이 꾸린 사절단)이라는 게 여러 그룹 만들어진다"라며 "사죄사절단 만들어서 안중근 대신 사과하고 어떻게든 용서를 구하자. 이게 1909년에 일어났던 일이다. 똑같은 식의 맥락"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1909년 진사사절단을 만들자는 사람들의 주장하고 똑같다. 그때 일본에 대한 생각, 우리 자신에 대한 생각, 문제를 풀어나가는 방안에 대한 생각이 여전히 똑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노컷뉴스

지난 21일 방송된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친일 비판에 꿈쩍 않는 조선·중앙의 역사관' 편 (사진=방송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에서는 지난 17일 고노 다로 일본 외상과의 단독 인터뷰를 1면과 3면에 걸쳐 실었다.

인터뷰에서 고노 다로 외상은 "징용 문제와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국가간 약속이 지켜지지 않아 신뢰 관계가 훼손된 것은 사실이다. 한국 정부가 약속을 지켜주기를 바라고 있다", "국교 정상화의 법적 기반이 돼온 약속을 50년 이상 지나 한국 측이 일방적으로 뒤집어버렸다", "일본 국회의원 중에도 특히 한·일 관계에 애정을 쏟아왔다고 자부한다. 이런 애착을 갖고 있기에 한국 측이 적절한 대응을 취해주기를 강력히 촉구한다" 등의 발언을 했다.

해당 인터뷰에 대해 강유정 강남대 한영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인터뷰라는 미명 하에 질문을 던졌지만 추가 질문이 전혀 없습니다. 일본 측의 이야기를 스피커 역할을 한 것"이라며 "친일이라는 말이 굉장히 좀 거부감이 있지만 저는 확실히 '부왜'(附倭: 왜국에 붙어 나라를 해롭게 하는 행위 또는 사람)라고 본다. 일본에 붙어서 자식의 이익을 얻는 집단, 행동이라고 보는데, 이것도 분명히 일본에 붙어서 일본의 이야기를 전달해줬다는 부분에 대해서 어떤 독자라도 이견이 없지 않겠냐는 생각이 든다"라고 비판했다.

거듭된 칼럼에서 보이는 인식에 대해 정준희 교수는 "조선일보나 중앙일보 기사가 쭉 나오는 것은 인터넷에서 흔히 쓰는 표현으로 '빌드업(build-up)'이란 표현을 쓰는데, 결론으로 이끌기 위해 자기들의 세계에서 상상된 것들로 정당성을 쌓아간다"라며 "개별적으로 되어 있던 것들을 총선을 앞두고 쌓아 올린 거다. 결론적으로 국가 경영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전반적으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칼럼이 사실에 근거했다기보다는 일본 측의 논리에 따라 '인상비평'을 한다고 지적했다.

전우용 교수는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기사에서) 최근에 깔려 있는 기본적인 전제들이 보인다. 첫째는 보편적으로 민족주의는 시대착오적이다. 특히 한국 민족주의는 편협하다. 그리고 편협한 민족주의를 선동해서 일본과의 관계를 뒤틀어 놓은 한국 정부는 무능하고 시대착오적이라는 게 일관되게 깔려 있는 기본 전제"라며 이 같은 '편협한 민족주의'가 만들어 낸 문제를 사례로 들었다.

바로 일본이 저지른 '관동대학살'(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 폭도로 몰린 조선인 등 6000여 명이 일본 자경단에 의해 학살)과 '난징대학살'(1937년. 중일전쟁 당시 중국 난징을 점령한 일본군이 민간인과 포로 15만 명 이상을 학살)과 같은 범죄가 그것이다.

전 교수는 "힘 있는 자들의 편협한 민족주의가 범죄가 되어 왔다. 실제로 지금 진행되고 있는 양상에서의 문제는 과거 군국주의 시대의 향수를 부활시켜서 그것을 통해서 일본을 다시금 전쟁 이전의 정상국가로 되돌리려는 시도, 그리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주변 국가에 대한 부당한 요구와 공격에 대한 문제"라며 "이 문제가 미래의 한일 관계, 당장 대한민국과 일본의 관계뿐 아니라 남북한과 일본의 관계까지 포함한다는 시각을 가지고 접근해줬으면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