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2021년까지 10개 분야 5100여종 데이터 공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빅데이터. 게티이미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산업 분야별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시장 수요가 높은 1400여종의 신규 데이터를 생산·구축한다. 이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사업은 2021년까지 총 5100여종의 데이터를 생산·구축해 시장에 공급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데이터 생태계 조성과 혁신 성장의 기반 마련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출범식 행사를 개최했다.

과기정통부는 분야별 플랫폼 10개소와 이와 연계된 기관별 센터 100개소를 구축하는데 3년간 총 1516억원을 투입, 올해는 640억원 규모로 사업을 진행중이다. 현재는 1차 공모에서 선정된 72개 센터 외에 28개의 추가 센터 선정을 위한 2차 공모중이다.

이날 출범식에는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 노웅래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김성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자유한국당 간사 등 주요 내빈과 관계 부처 및 플랫폼 운영기관 대표 등 약 300여명이 참석해 연말까지 구축될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의 청사진을 미리 살펴보는 자리다.

올해부터 향후 3년간 구축될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는 우리나라의 낙후된 데이터 생태계를 혁신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공과 민간이 데이터 생산 방식과 파일 형식 등이 달라 데이터 호환에 제약이 발생되는 점을 고려해 개방 표준을 적용할 계획이다. 센터와 플랫폼 간에는 민간 클라우드 기반으로 데이터 연계 체계를 마련하고, 센터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플랫폼을 통해 개방·공유해 데이터의 최신성과 연속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데이터 등록 및 검증, 소재 통합검색, 품질 및 유통 사후관리, 유통 표준약관 등을 마련해 기업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유통·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과기정통부 유영민 장관은 "오늘 출범식은 대한민국이 데이터 강국으로 가기 위한 초석을 놓은 자리"라고 언급했다. 이어 유영민 장관은 "세계 주요국들보다 데이터 경제로 나아가는 발걸음이 다소 늦었지만,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를 지렛대로 우리나라의 낙후된 데이터 생태계를 혁신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제고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