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금융위 “일본, 금융분야 보복조치 움직임 아직까지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금 유출·대출 축소·금융기관 감독 강화 등 3가지 시나리오 점검

“국내 유입 일본 자금 39조원…증권·은행선 의존도 낮아 영향 적어”

금융당국이 일본의 금융분야 보복조치 예상 시나리오로 국내 증권시장의 일본계 자금 유출, 국내 일본계 은행의 여신(대출) 축소뿐 아니라 일본 현지의 한국 금융기관에 대한 검사나 감독이 강화될 가능성까지 들여다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발생 가능한 상황을 점검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일본 측이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가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이태규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금융위는 일본의 금융보복 시나리오를 크게 3가지로 나눠 점검하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주식시장 내 일본계 자금은 전체 외국인 자금 560조원의 2.3%인 13조원, 채권시장 일본계 자금은 전체 외국인 자금 125조원의 1.3%인 1조6000억원이다.

일본계 은행 국내 지점의 총여신은 5월 말 기준 24조7000억원으로 국내 은행 총여신(1983조원)의 1.2% 수준이다. 제조업에 39.2%인 8조6634억원이 투입됐고 금융 및 보험업 여신이 36.8%인 8조1436억원이다. 금융위는 증권시장과 은행 자금 모두 일본 의존도가 낮아 보복조치가 있더라도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일본에 진출해 있는 국내 금융사에 대한 일본 당국의 검사가 강화될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지만 아직까지 특이동향은 없다고 밝혔다. 일본의 무역보복 조치가 발표된 지난 1일 직전인 6월28일에는 하나은행 후쿠오카 사무소의 지점 승격이 정상 승인됐다.

국내 주요 은행의 일본 지점은 신한은행 현지법인 SBJ가 10개로 가장 많고 하나은행이 3개, 우리은행과 국민은행이 각각 1개이고 일본 지점을 확대하려는 곳은 없다.

금융위는 “일본 정부의 금융부문 관련 조치가 없는 상태이고 금융시장에서도 특이동향이 없어 정부가 별도로 사전조치를 하거나 기업에 안내한 내용은 없다”면서 “유관기관과 함께 발생 가능한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 유입된 일본 자금은 금융위가 밝힌 39조3000억원(주식, 채권, 은행 여신) 외에 지난해 말 기준 국제투자대조표 기타투자 중 일본 투자액 13조6000억원까지 더하면 53조원에 이른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제투자대조표의 기타투자는 국경을 넘어온 자금을 뜻한다. 다만 해당 자금 중에는 일본 현지에서 국내 일본계 은행에 보낸 자금도 포함될 수 있어 중복 계상될 수 있다.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