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대구시, 일본 수출규제 대응 소재·부품 국산화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구시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해 정부 지원으로 소재·부품 분야 국산화를 추진한다.

22일 대구시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모한 소재·부품 분야 연구·개발(R&D)사업에 3개 과제가 선정됐다.

사업 선정으로 국비 10억6000만원을 지원받아 지역 소재·부품산업 자체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과제는 스크럼 프로세스 기반 다중소재 내구성 향상 기술, 차량용 스테인리스 스피커그릴 양산화 공정기술, 폐 2차전지 고농도 불순물 제어 공정기술로 대구테크노파크 나노융합실용화센터와 대구·경북 4개 기업이 맡는다.

스크럼 프로세스 기반 다중소재 내구성 향상 기술개발에는 내년 상반기까지 국비 5억원을 투입해 달성공단 내 ㈜라지, 이시아폴리스 내 ㈜씨엠에이글로벌이 참여한다.

차량용 스테인리스 스피커그릴 양산화 공정기술은 ㈜씨엠에스가 공동참여해 국비 3억8000만원을 들여 개발하고 구미 ㈜타운마이닝리소스는 폐 2차전지 고농도 불순물 제어 공정기술개발에 참여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소재·부품 분야 연구개발 사업 국산화를 통해 약 32억원의 신규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구=문종규 기자 mjk206@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