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납 성분 제거한 페로브스카이트 합성 기술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KIST·전남대팀 주도 ]

국내 연구진이 인체에 유해한 납(Pb) 성분을 뺀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소재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김태욱 센터장, 전남대학교 이상현 교수로 이뤄진 공동연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 재료로 각광받는 페로브스카이트를 납을 사용하지고 않고 합성하는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머니투데이

합성된 페로스카이트 나노소재 표면/사진=KIST


페로브스카이트는 육방면체 구조를 가진 반도체 물질로 빛을 전기로 바꾸거나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특성이 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는 비교적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높은 발광율과 선명한 색을 구현할 수 있어, 미래 디스플레이의 유망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다. 문제는 성능 극대화를 위해 납 성분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중금속인 납 성분은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도 일으킨다. 이 때문에 사용 및 수출·입에 제한을 두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를 위해선 납 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합성법 개발이 필수적인 상황. 연구팀은 납 대신 희토류계 원소인 ‘이터븀’(Ytterbium, 원자번호 70번)를 이용해 고품질, 고균일도를 가지는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소재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김 센터장은 “납이 들어가지 않은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소재 연구에 대한 새로운 활로를 제시했다”며 “해당 원소재의 응용 및 상업화를 위한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화학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벤스드 머터리얼스’ 최신호에 실렸다.

류준영 기자 joon@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