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8 (화)

독립운동가단체, 日대사관 항의문…"아베, 이성 찾아라"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항단연, 일본대사관 앞서 기자회견

"경제보복, 내정간섭이나 다름없어"

함세웅 "아베, 이성적 인간이 되길"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도 주장

뉴시스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항일독립선열선양단체연합 관계자들이 23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강제징용 사죄를 촉구하고 경제보복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마친 후 일본대사관에 경제보복에 대한 항의문을 전달하기 전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19.07.23. bluesoda@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최현호 기자 = 독립운동가기념단체들이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를 규탄하며 일본대사관에는 항의문을, 외교부에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 요청서를 전달했다.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등 독립운동가기념단체들이 모인 항일독립선열선양단체연합(항단연)은 23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베 총리는 일제강점기 만행을 사죄하고 명분없는 경제보복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이날 항단연은 일본대사관 전달 항의문을 통해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가 잘못됐고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경제보복의 발단은 일제강점기 시절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서 비롯됐다"면서 "한 국가의 사법부 판결에 대해 다른 국가 행정부가 불만을 토로하는 것은 내정간섭"이라고 밝혔다.

또 "일본 외무성의 내부문서에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체결 당시부터 '협정 체결 후에도 개인 청구권은 유효하다'는 판단이 확인됐다"면서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돼 일본 정부가 인정한 공식문서가 증거로 채택된다면 일본의 패소가 뻔하다"고도 덧붙였다.

이외에도 항단연은 ▲일본은 내부가 혼란할 때마다 해외로 눈길을 돌려 민심을 다잡았다는 점 ▲한국경제가 일본 하나로 휘청거릴 정도로 허약하지 않다는 점 ▲한국 내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다는 점 등을 언급했다.

항단연 회장을 맡고 있는 함세웅 신부는 "올해 3·1혁명 100주년을 맞는 해에 그 뜻을 후손들이 잘 되새겨라하는 의미에서 아베가 남북 8000만 모두를 깨우쳐주는, 무리한 일을 저지르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회적으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비판했다.

그러면서 "아베처럼 행하는 것은 철부지 어린이들(이나 다름없다)"면서 "깨어나지 않은, 철들지 않은 아베가 이성적인 인간이 될 수 있도록 호소하며 기도한다"고도 덧붙였다.

뉴시스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항일독립선열선양단체연합 관계자들이 23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강제징용 사죄를 촉구하고 경제보복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마친 후 일본대사관에 경제보복에 대한 항의문을 전달하던 중 경찰에 의해 저지되고 있다. 2019.07.23. bluesoda@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안중근 의사께서 동양평화를 위해 일본을 꾸짖되 일본의 양심인들은 우리가 껴앉고 청나라와 힘을 합해 서구 침략을 막아야 한다고 했다"면서 "오늘 일본에 대해 항의하면서도 독일과 같은 성숙한 민족이 되라고 일본에 권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항단연 측은 항의문을 낭독한 이후 곧바로 일본대사관으로 들어가 항의문을 전달했다.

항단연은 2016년 체결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을 선제적으로 파기하라는 내용의 요청서도 기자회견 이후 외교부에 전달하기로 했다.

요청서를 통해 항단연은 "대한민국의 안보가 일본에 저당잡힌 상황에서 일본의 경제보복이 가시화된 현실에 우려를 감출 수 없다"면서 "일본에게 경제적, 군사적으로 끌려다니는 부끄러운 역사를 후손에게 물려줄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은 박근혜정부 시절 한국과 일본이 군사정보 직접 공유를 위해 체결한 협정이다. 당시 야권과 시민단체 등이 강력하게 반발했으나 정부는 관련 절차를 그대로 진행했다.

wrcmania@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