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외교·국방, 中·러시아 초치…"영공 침범 재발시 대응조치"경고(종합3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교부, 러시아 대사대리·中대사 각각 불러 엄중 항의

국방부 "이번 사태 매우 엄중, 재발방지 강력 요청"

뉴스1

막심 볼코프 주한 러시아 대사대리(왼쪽)와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가 23일 중국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진입과 관련해 각각 서울 도렴동 외교부청사로 초치되고 있다. 2019.7.23/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배상은 기자 = 정부가 23일 중국과 러시아에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및 영공 침범 행위에 대해 항의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외교부 윤순구 차관보는 먼저 이날 오후 2시 30분께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추궈훙(邱國洪) 주한 중국대사를 불러 KADIZ 무단 침범 행위에 대해 항의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이후 3시에는 막심 볼코프 주한 러시아대사 대리를 초치하고 영공 침범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

윤 차관보는 굳은 표정으로 차관보실에 들어선 볼코프 대사대리와 서로 악수나 인사를 하지 않은 채 탁자 끝에 양옆으로 서서 사진을 찍은 뒤 자리에 앉았다. 권영아 외교부 유라시아과장과 레나르 살리물린 주한러시아대사관 1등서기관도 각각 배석했다.

윤 차관보는 이어진 모두발언에서 "오늘 급하게 예정도 없이 초치한 것은 러시아 군용기의 KADIZ와 우리 영공 침범에 대해서 엄중한 항의의 뜻을 전하며 재발 방지를 촉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1

막심 볼코프 주한 러시아 대사대리가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로 초치되고 있다. 오른쪽은 윤순구 외교부 차관보. 2019.7.23/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볼코프 대사대리는 윤 차관보의 발언 뒤에도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은 채 정면만 응시하며 무거운 침묵을 지속했다. 볼코프 대사대리는 이후 청사를 나가면서 이번 영공 침범 행위에 대한 의도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도 한국말로 "지금은 말할 수 없다"면서 답변하지 않았다.

외교부는 러시아 측을 초치한 자리는 모두발언을 공개하고 볼코프 대사대리가 청사를 들어오는 시간을 사전에 공지했다. 그러나 중국 추 대사는 도착 시간에 대한 사전 공지가 되지 않은 채 비공개로 윤 차관보를 만나고 되돌아갔다.

이는 영공침범과 KADIZ 침범의 엄중성이 다른 점을 고려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뉴스1

합동참모본부는 23일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무단 진입과 관련해 니콜라이 마르첸코 러시아 공군무관(왼쪽)과 두농이(杜農一) 중국 국방무관을 초치했다. 합참 관계자는 이날 "오늘 아침 중국 군용기 2대와 러시아 군용기 3대가 카디즈를 진입했으며 이 중 러시아 군용기 1대는 독도 영공을 침범해 우리 군이 대응했다"고 밝혔다. 2019.7.23/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방부도 이날 2시 30분과 3시께 각각 두농이 주한중국대사관 국방무관과 니콜라이 마르첸코 주한러시아대사관 공군무관을 초치해 이번 사태에 대해 항의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진형 국방부 정책기획관은 각각 자리에서 중국 및 러시아 군용기가 사전 통보 없이 KADIZ에 진입, 우리 영공에 근접해 민감한 지역을 장시간 비행한 데 대해 양국에 유감을 표명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을 강력히 요청했다.

특히 이 정책기획관은 마르첸코 무관에 러시아 군용기의 영공 침범과 관련 "우리 정부와 국민은 이번 사태를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면서 향후 동일 행위가 발생할 경우 우리 정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것임을 경고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측에서 재발 방지를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앞서 이날 오전 8시를 전후해 중국 군용기 2대와 러시아 군용기 3대가 KADIZ에 진입했고, 이 가운데 러시아 군용기 1대는 독도 인근 영공을 두 차례 침범했다. 이에 우리 공군 전투기가 경고 사격을 가하고 대응했다.

영공은 해안선에서 바다로 12해리(약 22㎞)까지인 영해와 영토의 상공을 의미하는데 이를 침범하면 경고 이후 통제에 따르지 않을 시 격추할 수 있다.

러시아 군용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군용기와 러시아 군용기가 함께 비행을 펼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정확한 의도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일각에선 다음 달 실시될 한미 연합훈련을 겨냥한 '무력시위'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인철 대변인은 앞서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추 대사와 볼코프 대사대리 초치 계획을 설명하면서 이번 사태와 관련 "국방부와 관련 정보를 공유하면서 긴밀히 대응하고 있고 계속 그렇게 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baebae@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