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靑 항의에도 러시아 "독도 영공 침범 안했다" 부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의용 "되풀이되면 더 강력한 조치 취할 것"

러시아 정부가 23일(현지 시각) 자국의 군용기가 독도 영공을 침범한 적이 없으며 한국이 이에 대한 경고사격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타스>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러시아의) 전략 폭격기(TU-95MS) 2대는 '일본해'(Sea of Japan)의 중립 수역을 비행하는 동안 경계(한국 영공)를 침범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TU-95MS는 기존 계획에서 벗어나는 비행을 하지 않았다"며 "독도와 25km 떨어진 상태에서 국제적 규범을 준수했으며 한국 영공을 침범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 국방부는 오히려 "한국의 F-16 전투기 2대가 독도 지역에서 러시아 전투기에 비전문적인 형태로 접근했다"며 "전략 로켓을 실은 러시아 전투기의 항로를 가로지르며 안전을 위협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국방부는 "한국 (전투기) 조종사들은 TU-95MS의 대원들과 통신하지 않았다"며 한국의 대응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날 기자들과 만난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러시아 군용기에 "계속 통신을 시도했는데 (러시아 측에서) 대답이 없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함께 러시아 국방부는 한국의 F-16기가 러시아 전투기에 대한 경고사격을 실시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합참은 한국의 전투기가 러시아 군용기에 대해 360발의 경고 사격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러시아 군용기와 함께 한국의 방공식별구역(KADIZ)으로 진입한 중국 군용기와 관련,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방공식별구역은 영공이 아니다. 각국은 국제법에 따라 비행 자유를 누린다"라고 주장하며 자신들의 카디즈 진입에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같이 KADIZ를 넘나든 것뿐만 아니라 러시아 군용기는 독도 영공을 침범하기까지 하면서 정부는 막심 볼코프 주한 러시아 대사대리와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를 불러 군용기의 영공 및 KADIZ 침범에 대해 엄중 항의했다.

특히 러시아의 독도 영공 침범과 관련, 윤순구 외교부 차관보는 "오늘 예정도 없이 대사를 초치한 것은 러시아 군용기의 KADIZ와 우리 영공 침범에 대해서 엄중한 항의의 뜻을 전하며, 재발방지를 촉구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도 러시아 군용기의 영공 침범 이후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러시아 연방안보회의(FSC) 서기에게 "우리는 이 사태를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으며, 이런 행위가 되풀이될 경우 훨씬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항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러시아 정부에 적절한 조치를 요구했다.

한편 독도를 자신들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는 일본 정부는 한국과 러시아 정부에 동시에 항의의 뜻을 밝히기도 했다.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한국과 러시아 정부에 각각 "우리(일본) 영토에서의 이같은 행위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역시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국 군용기가 (러시아 군용기에) 경고 사격을 한 것은 다케시마(독도) 영유권에 대한 우리(일본) 입장에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으며 극히 유감이라는 뜻을 한국에 전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러시아 군용기가 "2번에 걸쳐 다케시마 주변 영해를 침범했다"며 "자위대 긴급 발진으로 대응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자위대기가 발진한 정확한 시점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기자 : 이재호 기자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