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8 (일)

[WT논평] Socialism rose from the grave (3)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lifford D. May (president of the Foundation for Defense of Democracies)

A fact not widely understood: Mussolini learned from Lenin, and Hitler learned from both. It’s no mere coincidence that the Nazi Party was an acronym for National Socialist German Workers’ Party.

Under Communism, Fascism and Nazism, the means of production and other forms of wealth were either owned outright or largely controlled by the state. Those who held political power decided who got what, and for what purposes.

In the late 1970s, Mr. Muravchik writes, “socialism reached its apogee, with communist, social-democratic or Third World socialist regimes governing most of the world.” In country after country, socialism’s ability to alleviate poverty and create wealth for the masses, proved “dismal.” Many socialist regimes evolved into one-party dictatorships and despotisms.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Russia did not embrace free market capitalism. What wealth Russia possesses is today controlled by President Vladimir Putin and his cronies.

In China, the number of people killed thanks to socialist policies is staggering.

In recent years, the ruling Chinese Communist Party has developed a “socialist market economy” that permits entrepreneurship and private ownership. Wealth has been created as a result, but its distribution is among the most unequal in the world. Politically, China is neither democratizing nor liberalizing.

Finally, a word about Scandinavia: Sweden and other Nordic countries experimented with socialism, found it wanting, and returned to capitalism to create the affluence necessary to provide a broad social safety net and an array of welfare benefits to their small, relatively homogenous populations.

무덤에서 일어난 사회주의 (3)

클리퍼드 D 메이(민주수호재단 총재)

널리 이해되지 않은 사실이 한 가지 있다. 무솔리니는 레닌으로부터 배웠고 히틀러는 둘로부터 배웠다. 나치당이 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의 두문자 약어인 것은 단순한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공산주의와 파시즘 및 나치주의 아래서는 생산수단과 부의 다른 각종 형태를 국가가 완전히 소유했거나 대부분 통제했다. 정치적인 권력을 쥔 사람들이 누가 무엇을 소유할 것인지, 어떤 목적에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했다.

1970년대 후반에 “공산주의 정권과 사회민주주의 정권 혹은 제3세계의 사회주의 정권이 세계의 대부분을 지배하는 가운데 사회주의는 정점에 도달했다”고 무라브칙은 쓴다. 나라마다 대중의 가난을 완화시키고 부를 창출하는 사회주의의 역량은 “형편없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다수의 사회주의 정권이 일당독제체제와 폭정으로 변했다.

1991년 소련 붕괴에 뒤이어 러시아는 자유시장 자본주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오늘날 러시아가 보유한 부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그의 일당이 관리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사회주의의 각종 정책 때문에 살해된 사람의 수가 엄청나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집권 공산당은 기업가 활동과 개인의 소유권을 허용하는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발달시켰다. 그 결과 부가 창출되었지만 부의 분배는 세계에서 가장 불평등한 축에 속한다. 정치적으로 중국은 민주화나 자유화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다.

끝으로 스칸디나비아에 관해 한마디 하겠다. 스웨덴과 여타 북유럽 국가들은 사회주의를 실험했고 사회주의가 미흡한 것을 알았으며 그들의 규모가 작고 비교적 동질적인 국민들에게 폭넓은 사회안전망과 일련의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부를 창출하기 위해서 자본주의로 복귀했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acronym: 두문자어 △dismal: 음울한 △outright: 완전한 △apogee: 정점 △wanting: 부족한 △despotism: 폭정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