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2 (일)

역대 대통령 `광복절 축사`에 담긴 국정철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박정희 前대통령
한일관계 실리 추구…국교 정상화에 합의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64년 광복절 기념사에서 한일 문제의 현실론을 주장했다. 박 전 대통령은 국민의 대일 감정을 두고 "우리가 당면한 산적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는 풀려나올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 박 전 대통령은 1961년 일본을 방문해 한일 국교 정상화에 합의했고 이후 김종필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일본과 쟁점들을 조정해나가는 중이었다. 1964년 6월 '굴욕적 한일 회담 반대'를 주장하는 대규모 시위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일어나자 박 전 대통령은 군대를 동원해 이를 진압했다. 결국 1965년 체결된 한일청구권협정은 성급한 추진과 한일 간 서로 다른 해석으로 현재도 논란을 낳고 있다.

■ 노태우 前대통령
적극적인 북방 외교…남북관계 열쇠 찾아

노태우 전 대통령은 동유럽권과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자신감을 그대로 광복절 기념사에 드러냈다. 이는 북한에 대한 압박이자 유화책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1989년 "남과 북은 통일을 이루는 중간 단계로, 우선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공존·공영하면서 개방과 교류, 협력을 통하여 민족공동체를 회복·발전시켜나가야 한다"고 했다.

1990년 경축사에선 그의 뜻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노 전 대통령은 "이제 한반도의 남북 간에도 화해와 협력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했다. 한 달 후인 1990년 8월부터는 남북 고위급회담이 열리면서 남북 대화가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 김영삼 前대통령
총독부 관저철거 등 일본 과거반성 촉구

김영삼 전 대통령은 평소 직선적이고 파격적인 언사를 기념사에도 그대로 드러냈다. 특히 취임 직후 서울 광화문에 있던 옛 조선총독부 관저를 철거하는 등 반일주의를 통해 여론의 지지를 얻은 김 전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일본에 대해 반성을 촉구했다. 김 전 대통령은 1994년 기념사에서 "우리는 한일 두 나라 관계가 미래지향적으로 발전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면서도 "일본이 과거 역사를 올바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고 했다.

지나친 측면도 있었다. 김 전 대통령은 1995년 11월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면서 "일본의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고 해 일본을 자극했다.

■ 김대중 前대통령
취임첫해 "평양에 특사"…첫 남북정상회담 결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0년 6월 첫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고 6·15 공동선언을 통해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등 경제협력도 이끌어냈다. 취임 첫해인 1998년부터 본인 생각을 드러냈다. 김 전 대통령은 그해 기념사에서 "저는 북한이 원한다면 이 모든 문제를 협의하기 위하여 대통령 특사를 평양에 보낼 용의가 있다"고 했고 1999년에는 "언제든지 남북 당국자 간 대화에 응할 용의가 있으며, 북한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했다.

'햇볕정책'을 표명하면서 유화적 자세를 강하게 내보인 것이다. 2년간 적극적 구애 끝에 김 전 대통령은 남북 간 실질적 대화와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 노무현 前대통령
자주국방 의지 확고…친일청산 액션 플랜

노무현 전 대통령은 광복절 기념사를 통해 자주국방, 친일행위 진상 규명 등 역대 대통령들이 언급하지 않았던 구체적 액션플랜들을 연설로 풀어냈다.

취임 첫해인 2003년 노 전 대통령은 "자주독립국가는 스스로의 국방력으로 나라를 지킬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노 전 대통령은 2004년 기념사에서 "지난 역사에서 쟁점이 됐던 사안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진상규명특별위원회를 국회 안에 만들 것을 제안 드린다"고 했다. 이에 따라 국회는 '일제 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특별법'과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기본법'을 통과시켰다. 건국 이후 60년 만에 친일 규명 작업이 이뤄지게 된 것이다.

■ 박근혜 前대통령
3년간 한일문제 지적…위안부 합의 이뤄져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지속해서 일본에 대해 메시지를 냈다. 한일 위안부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초석이었다. 박 전 대통령은 2013년 "일본은 동북아 평화와 번영을 함께 열어갈 중요한 이웃이지만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최근 상황이 한일 양국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고 했다.

박근혜정부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선결 조건으로 내세웠고 취임 약 3년 만인 2015년 11월 2일 첫 한일정상회담을 열었으며 그해 말 한일 위안부 합의가 이뤄졌다. 그러나 피해자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고 일본이 위안부 강제성을 인정하지 않고 사과 없이 정치적 타협만 이뤘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다.

[김효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