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 강남 가는 퇴근버스는 만원이었다. 뒷문으로 탄 임신부는 정류장마다 열리는 문앞에서 위치를 계속 바꿨다. 뒷문 쪽 교통약자배려석 근처에 서 있던지라 임신부 위치를 나랑 바꿨다. 그런데 교통약자배려석에 앉아 있는, 40대쯤으로 보이는 남성은 스마트폰에 눈을 박고 검색만 할 뿐 일어나지 않았다. 만원버스라도 주변에 누가 서 있는지 감이 올 텐데 그냥 모르쇠다. 그 머리를 쥐어박고 싶었지만 그럴 수는 없어 계속 노려봐도 옆에 눈길 한번 주지 않았다.
만원버스나 만원지하철에서 교통약자배려석을 비워두긴 어렵다. 그래서 필요한 사람이 오면 양보하라고 스티커를 붙여 놨을 거다. 자리에 앉아서 스마트폰에 고정된 눈을 잠시라도 들면 지하철에서는 내 앞에 선 사람이 보이지만, 버스는 앞에 앉은 사람 뒤통수와 앞좌석 뒷면만 보인다. 교통약자를 배려하라는 스티커, 버스에서는 좌석 옆이 아니라 앞좌석 뒷면이 맞는 자리다. 그러면 잠시 앉았던 자리를, 원래 주인에게 양보하는 경우가 늘어나지 않을까. 그래도 안 일어나면? 강제라도 하고 싶다.
lark3@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