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말빛 발견] 언어 뒷바라지/이경우 어문부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인이 되면 느려진다. 걷는 것도, 말하는 것도, 귀로 듣는 것도…. 그렇더라도 이전의 노인들은 사회의 표준 구실을 했다. 현명함, 너그러움, 지도력이 그들이 지닌 무게였고 가치였다. 젊은층은 그들을 본받으려고 했다. 지금은 그렇지 않다. 속도와 정보가 많은 것의 기준이 되는 시대가 됐다.

고령화 시대의 노인은 주변부에 있다. 노인 세대가 의미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들의 언어 문제도 같이 들여다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노인이 말의 속도를 견딜 수 있는 사회적 장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외국에서 온 이주자들은 일상의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중요한 정보는 얻기가 아주 힘들다. 이것은 일의 실패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들의 언어로도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책자든 방송이든 그들의 언어로 한국사회의 정보를 제공하자는 것이다. 이것은 그들이 정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재가 모이는 정책이 될 수 있다.

지난주 서울신문이 마련한 좌담회에서 김하수 전 연세대 교수가 제시한 의견이다. 노인, 이주자들에게 ‘언어 뒷바라지’가 필요하다고 한다. 더 트인 사회로 가려면.

wlee@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