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 일본과의 무역 분쟁에도 한국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한국신용평가(한신평)는 최근 보고서에서 "업권별 영향 진단 결과 조달 및 영업 측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국내 금융 산업은 조달 및 운용에 있어서 국내 비중이 절대적인, 내수산업 성격이 짙다는 것이다. 은행의 경우 일본계 조달액이 10 조원 내외로 전체 조달 대비 0.8%에 불과하다.
신한은행의 일본 자회사 영업에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신한은행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봤다.
캐피탈 역시 일본계 조달액이 2.2 % 정도여서 영향이 미미하다. 보험은 가입과 운용 측면에서 일본 익스포저가 매우 작다고 한다.
그런가하면 증권사들의 해외 대체 투자는 미국과 유럽에 집중돼 있으며, 일본계 저축은행은 본사와 자금 거래 및 채무액은 없다. 내수 위주 운용을 하고 있어 영향이 적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신평은 "현재 무역제재 는 자본거래에 대한 제한이 없어 회사별 영향이 매우 작다"면서 "다만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장기화되는 상황을 감안하면 금융회사 영업에도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일본계 금융회사의 영업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무역분쟁이 지속될 경우 일본 의존도가 높은 제조업 등 실물경기에 영향을 미쳐 금융회사의 기업여신에 위험이 전이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봤다. 하반기 국내 성장률 등이 저하된 다면 자산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는 시각이다.
앞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지난달 "일본 금융기관이 자금을 회수하더라도 우리나라 민간과 정부 차원에서 충분한 대응 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일본계 은행의 대(對)한국 자 산규모는 563억 달러이며, 이 가운데 1년 이내 단기 국내자산은 114억 달러라고 한다. 일본계 은행의 대(對)기업 여신이 재무구조가 건전한 대기업에 집중돼 있어 일본의 금융자금 회수가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또 은행은 외화 LCR(유동성 커버리지 비율) 규제 도입으로 급격한 외화 자금 유출 시에도 충분한 대응 여력을 갖춘데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은행의 외화 차입금 규모 축소, 거주자 외화예수금 증가, 단기 차입 비중 축소 등 건전성이 개선됐다는 점을 들었다.
정부는 글로벌 은행의 한국 여신 규모를 크게 넘어서는 외환보유액과 기축통화국(캐나다, 스위스)과의 통화스와프로 금융안정망이 대폭 강화됐다.
연구원은 "현 상태에서 일본의 금융 보복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으며, 일본 자금이 유출되더라도 파급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우리나라의 일본 자금 의존도가 현저히 낮아졌으며, 단기외채 규모 감소로 외채구조가 장기화되는 등 외환건전성이 크게 개선돼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한국 금융기관과 기업에 대해 행정조치를 통해 압박할 가능성은 있다고 봤다. 연구원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금융기관 등이 연계해 일본계 은행을 포함한 외국계 은행의 자금흐름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