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은 15일 충남 천안의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회 광복절 경축식에서 "해방 74년이 흐른 지금 우리는 세계 6대 제조강국, 세계 6대 수출강국의 당당한 경제력을 갖추게 됐다"며 "그러나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는 아직 이루지 못했다. 아직도 우리가 충분히 강하지 않기 때문이며, 아직도 우리가 분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저는 오늘 어떤 위기에도 의연하게 대처해온 국민들을 떠올리며 우리가 만들고 싶은 나라,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다시 다짐한다"고 극일의 의지를 다졌다.
|
"지금이라도 대화·협력 나서면 기꺼이 손 잡겠다"
문 대통령은 일본에 대해 "과거를 성찰하는 것은 과거에 매달리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딛고 미래로 가는 것"이라며 "일본이 이웃나라에게 불행을 주었던 과거를 성찰하는 가운데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이끌어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일본에 대한 비판 수위를 조절했지만 단호한 의지를 담았다. 문 대통령은 "협력해야 함께 발전하고 발전이 지속 가능하다"며 "국제 분업체계 속에서 어느 나라든 자국이 우위에 있는 부문을 무기화한다면 평화로운 자유무역 질서가 깨질 수 밖에 없다. 먼저 성장한 나라가 뒤따라 성장하는 나라의 사다리를 걷어차서는 안된다"고 따끔하게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지금이라도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우리는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라며 "공정하게 교역하고 협력하는 동아시아를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고 언급, 대화 또는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문 대통령은 이어 "지난해 평창동계올림픽에 이어 내년에는 도쿄하계올림픽, 2022년에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열린다"며 "동아시아가 우호와 협력의 기틀을 굳게 다지고 공동 번영의 길로 나갈 절호의 기회로 세계인들이 평화의 한반도를 보았듯이 도쿄 올림픽에서 우호와 협력의 희망을 갖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책임있는 경제강국, 교량국가, 평화경제 비전 역설
문 대통령은 이날 제시한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위한 세 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책임 있는 경제강국을 비롯해 평화와 번영을 선도하는 교량국가, 평화경제 등이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부당한 수출규제에 맞서 우리는 책임있는 경제강국을 향한 길을 걸어갈 것"이라며 "우리 경제구조를 포용과 상생의 생태계로 변화시키겠다. 대중소기업과 노사의 상생협력으로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힘을 쏟겠다"고 선언했다.
교량국가에 대해서는 "지정학적으로 4대 강국에 둘러싸인 나라는 세계에서 우리 밖에 없다"며 "우리가 힘을 가지면 대륙과 해양을 잇는 나라, 동북아 평화와 번영의 질서를 선도하는 나라가 될 수 있다. 더 이상 남에게 휘둘리지 않고 주도해나간다는 뚜렷한 목표를 가져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사람 중심, 상생번영의 평화 공동체는 우리부터 시작해 한반도 전체와 동아시아, 나아가 세계의 평화와 번영으로 확장하자는 것"이라며 신북방정책과 신남방정책, 남과 북의 끊긴 철길과 도로 연결을 들며 아시아 공동체를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를 통해 평화 경제를 수차례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평화로 번영을 이루는 평화 경제를 구축하고 통일로 광복을 완성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3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북미 간의 실무협상이 모색되고 있다. 불만스러운 점이 있다고 해도 대화의 판을 깨거나 장벽을 쳐 대화를 어렵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이 고비를 넘어서면 한반도 비핵화가 성큼 다가올 것이며 남북관계도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희망을 표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한반도가 통일까지 된다면 세계 경제 6위권이 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2050년 경 국민소득 7~8만불 시대가 가능하다는 국내외 연구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며 "평화와 통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이 매우 클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평화경제를 통해 우리 경제의 신성장 동력을 만들겠다"고 역설했다.
dedanhi@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