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법제·시민사회 성숙
민심도 시위대 반감 커져”
중국 베이징항공항천대 일국양제법률연구센터 톈페이룽(田飛龍) 주임(사진)은 홍콩 시민들의 ‘범죄인 인도 조례’(송환법) 반대 시위를 두고 “홍콩 사회는 성숙한 법치·시민사회이기 때문에 1989년 톈안먼 사태 같은 비극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 문제 전문가인 톈페이룽 주임은 지난 14일 전화인터뷰에서 “(톈안먼 이후) 30년 동안 공산당의 ‘치국이정(治國理政·이치와 정치로 나라를 다스린다)’ 능력이 큰 폭으로 상승했기 때문에 그 같은 방식으로 해결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인터뷰 내내 중국 정부 입장을 대변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젊은층이 시위를 주도한다.
“(영국 식민지 시절 체계를 갖춘) 홍콩의 현 교육제도 때문에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세대가 정확한 역사관과 국가관을 접하기 힘들었고, 젊은이들이 송환법 수정 추진에 대한 강한 반감과 국가에 대한 편견을 가지게 됐다. 또 홍콩 반환 이후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올랐지만 임금 상승이 따라가지 못했다. 젊은층은 현실에 대한 실망감을 넘어 출구를 찾지 못해 절망감을 느꼈다.”
- 중국은 배후설을 제기한다.
“미국과 대만이 인터넷을 통해 시위를 선동하고 부추기면서 송환법 반대가 청년 반항 운동으로 변했다고 본다. 오성홍기(중국 국기)를 바다에 버리고 국가 휘장을 훼손하면서 사회질서를 어지럽히는 것은 미국과 관계가 깊다. 미·중 무역전쟁에서 홍콩 사태가 지속될수록 미국에 유리하다. 내년 1월 총통 선거에서 재선에 도전하는 차이잉원(蔡英文)도 사태를 이용하고 있다.”
- 일국양제 약속이 깨졌다는데.
“‘센트럴 점령 시위’(우산혁명·2012년 행정장관 직선제 요구 시위)를 포함해 일국양제는 홍콩 반환 후 계속 논란이 있었다. 2017년 대만구(大灣區, 광둥성 9개 도시와 홍콩·마카오를 묶는 광역경제권) 계획이 나온 후 자치 열망이 강해졌다. 일국양제는 50년간 변하지 않지만 중국의 위상에는 변화가 많다. 일국양제 문제에 대한 이견은 토론과 소통으로 조정할 수 있다.”
- ‘제2의 톈안먼’ 우려가 있다.
“홍콩 법제와 이성적인 시민사회 시스템이 충분히 현재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믿는다. 홍콩 민심도 시위대에 대한 반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본다. 홍콩 경제뿐 아니라 비즈니스 환경, 안전, 홍콩인들의 근본인 ‘안신입명(安身立命·몸은 편하고 마음은 안정되다)’이 훼손되고 있기 때문이다.”
- 언제 사태가 해결될까 .
“개인 의견으로 건국 70주년(10월1일) 전후로 폭력적 시위는 사라질 것으로 본다. 개학을 하면 많은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또 앞선 시위에서 체포된 가담자들에 대한 판결이 9월쯤 나올 것이다. 폭력시위로 엄중한 형사책임을 짊어질 수 있다는 자각이 될 것이다. 홍콩 사태로 9월 들어 경제 손실이 나타날 것이고, 사회적 압력 기제가 폭력시위를 멈춰 세울 것으로 본다.”
베이징 | 박은경 특파원 yama@kyunghyang.com
▶ 최신 뉴스 ▶ 두고 두고 읽는 뉴스 ▶ 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