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호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15일 발표한 '부(富)의 효과의 분위 추정' 논문에서 "주택가격지수로 본 실물자산이 소비에 음(-)의 부의 효과를 보여 기존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경제학자들은 금융자산이나 실물자산 가격이 오르면 일반적으로 소비도 함께 증가(양의 부의 효과)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특히 실물자산(부동산)이 금융자산(주식 등)보다 부의 효과가 더 크다는 게 미국을 비롯한 해외 연구 사례에서 나타난 결과다.
실제로 김 연구위원이 2003~2018년 자료를 토대로 각종 경제 변수가 가계 최종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에서도 소득(가처분소득)과 금융자산(주가지수)은 가계소비에 양의 부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주택자산은 달랐다. 논문은 "주택매매지수로 살펴본 실물자산은 가계소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밝혔다. 다른 자산과 달리 집값은 오를수록 오히려 가계가 씀씀이를 줄이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의미다.
김 연구위원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주택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주택 이전의 유인이 없거나 주택 규모 확대를 원하는 주택 소유자는 소비를 증가시킬 유인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집값이 오르더라도 대체로 집을 바로 팔지 않기 때문에 소비 여력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 더 큰 집으로 옮기고 싶은 욕구에 오히려 저축을 늘리는 쪽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편 가계부채 증가는 모든 분위에서 소비를 확대하는 순효과(net effect)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를 기준으로 볼 때 가계대출 중 소비 제약 가능성이 있는 주택담보대출보다 소비 확대 가능성이 높은 생계형 대출이 더 큰 비중(58.2%)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연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