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성폭력·스토킹 빼고… 여성체감 범죄 안전도 높아졌다는 경찰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리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 안전 수준이 역대 최고라는 경찰 자체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여성들이 느끼는 범죄 안전도가 높아졌다고 평가했는데 최근 잇따른 성범죄 탓에 여성들이 느낀 두려움을 감안하면 견강부회식 해석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경찰청은 15일 ‘2019 상반기 체감안전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체감안전도는 74.5점으로 지난해 하반기(73.5점)보다 1점 상승했다. 2011년 첫 조사를 시행한 이후 최고 점수다. 체감안전도 조사는 경찰청이 반기별로 일반인 2만 5500명에게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범죄 안전도와 교통사고 안전도, 법질서 준수도 등을 묻는 식으로 이뤄진다.

체감안전도 주요 평가항목인 범죄 안전도는 80.3점으로 역시 최고점을 기록했다. 경찰청은 ▲현 정부 출범 이후 2년여간 경찰인력을 8572명 늘렸고 ▲민생 치안에 경찰을 집중 배치해 탄력 순찰 등 시행 ▲우범지역 담벼락에 범죄 예방 디자인을 입히는 셉테드 확대 등의 노력 덕에 더 많은 시민들이 안전함을 느끼게 됐다고 분석했다.

경찰은 특히 남성과 여성이 느끼는 범죄 안전도 격차가 줄었다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올해 상반기 여성이 느낀 범죄 안전도 점수는 78.1점으로 반년 전보다 1.3점 높아졌다. 남성은 82점으로 여성과 3.9점 차이가 났다. 범죄 안전도 성별 격차는 한때 7점 이상 벌어지기도 했는데 그 폭이 크게 줄었다고 경찰청은 설명했다.

하지만 여성계는 경찰의 조사 결과를 믿지 못하는 눈치다. 평가 체계가 여성 불안감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방식으로 짜였다는 지적이다. 경찰의 범죄 안전도 조사 항목은 ▲절도·폭력 등과 같은 범죄로부터 얼마나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 ▲강도·살인 등과 같은 범죄로부터 얼마나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두 가지 항목으로 설계돼 있다. 최근 여성들이 큰 두려움을 느끼는 성폭력과 디지털 성범죄, 스토킹, 데이트 폭력 등에 대한 인식은 설문에 반영돼 있지 않다. 경찰 관계자는 “예전에 했던 조사와 범죄 안전도를 비교하기 위해 지표의 변화를 주지 않았다”면서 “(성폭력 등) 지표를 추가하는 문제는 내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