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광주마스터즈수영]장애·고령 극복한 '인간승리' 드라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전·극복·치유 그리고 우정…'한편의 드라마 모두가 주인공'

[편집자주]광주세계마스터즈수영선수권대회가 14일간의 열전을 마무리하고 18일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84개국에서 수영 동호회원 등 6000여명이 광주에 모여 수영을 매개로 우정을 나누고 화합을 도모했다. 2019년 여름 광주에서는 실력의 차이도, 나이와 성별, 언어와 국가, 장애로 인한 차이도 없었다. 단지 모두가 하나되는 진정한 축제만 있었을 뿐이다. 광주세계마스터즈수영대회를 4회에 걸쳐 결산한다.

뉴스1

광주세계마스터스수영선수권대회 오픈워터 경기가 지난 9일 여수 엑스포 해상공원에서 열린 가운데 케마드 마가렛타(왼쪽)와 카나발 마리아 선수가 경기를 마치고 포옹하며 나라와 나이를 초월한 우정을 쌓고 있다.(조직위 제공)2019.8.11/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2019광주세계마스터즈수영대회는 한 편의 감동 드라마였다.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사연을 간직한 이들이 '수영'을 매개로 광주에 모여 도전하고, 극복하면서 위로하고 위로받았다. 아픔을 치유하는 과정이었고 우정을 나누는 축제의 한마당이기도 했다.

장애를 극복하려는 이, 수영여제의 37년 만의 복귀, 어느 입양아의 46년 만의 고국 방문, 93세 고령 참가자의 도전, 청각장애인의 도전, 91세 어르신의 노익장, 쌍둥이 남매의 봉사 등 수 많은 이야기들이 쏟아졌고, 이는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안겨줬다.

자폐장애 1급인 이동현씨의 사연은 보는 이들을 뭉클하게 했다. 이씨는 1000여명의 한국 선수 가운데 유일한 장애인으로 참가해 경영 자유형 100m, 접영 50m, 접영 100m에 출전했다.

세계 각국의 비장애인들과 실력을 겨룬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시선도 있었다. 하지만 동현씨는 "그들과 기록과 순위를 다투겠다는 것이 아니다. 함께 시합하며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깨고, 비장애인들과 똑같이 할 수 있다는 모습을 보여주겠다"며 당차게 도전했다.

자신의 삶보다 아들의 인생을 함께 살아온 어머니 정순희씨(58)는 광주에서 세계대회가 열린다는 소식을 접하고 1초의 망설임도 없이 참가 신청을 했다.

그녀는 "아들에게 비장애인들과 함께 하는 멋진 역영의 경험과 즐거움을 선물하고 싶었다"며 "세상의 모든 장애인과 그 부모들에게 큰 용기와 힘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뉴스1

광주세계마스터즈수영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자폐장애 1급 이동현씨(29)가 자유형 100m에서 조 6명 중 3위를 기록한 후 어머니 정순희씨(58)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조직위 제공)2019.8.13/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독일에서 참가한 청각장애인 골드베르그 필과 로빈 형제의 도전도 많은 관심을 끌었다.

출발신호를 들을 수 없어 광학 출발신호에 의지해야 했지만 그들은 전혀 위축되지 않았다.

형제는 태어날 때부터 청각장애를 갖고 있었다. 보청기 없이는 아무것도 들을 수 없었지만 5~6살 때부터 수영을 시작해 한때 장애인 수영 독일 대표도 했다.

형제는 "청각장애는 우리의 신체적 움직임이나 빠른 수영 능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70년대 중후반 한국 신기록을 무려 32차례나 경신하며 한국 여자수영의 간판으로 활약했던 최연숙씨(60)는 37년 만에 깜짝 복귀해 관심을 끌었다.

최씨는 더 이상의 경쟁자가 없어 더 큰 곳으로 나가고 싶었지만 꿈이 이뤄지지 않자 조기 은퇴를 선택했다. 그는 2년 전 뇌출혈로 쓰러져 지금도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토록 그리던 물로 되돌아왔다.

그녀는 "여러 이유로 내려놓았거나 잃어버렸던 자신을 다시 확인해 찾아가는 대회였다"며 이번 대회는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의미를 부여해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줬다.

뉴스1

1970년대 한국 수영 신기록을 32차례나 경신했던 신기록 제조기 최연숙씨(60)가 광주에서 열리는 세계마스터즈수영선수권대회 출전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광주세계마스터즈수영선수권대회조직위 제공)2019.8.8/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살 때 독일로 입양을 갔다가 이번 대회 참가를 위해 무려 46년 만에 처음으로 고국을 방문한 라인들 심 미리암(52)의 사연은 모두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그녀는 "태어난 나라에서의 역영은 특별한 경험이었으며 특히 제 기록을 20초나 단축시켜 경기 결과에 대단히 만족한다"며 "내가 태어난 나라에서 아름다운 경험을 했다. 대회가 끝나면 독일에서 오기로 한 친구와 3주일 동안 한국의 곳곳을 다니며 여행을 즐기겠다"고 말해 고국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하지만 입양과 관련해서는 "한국의 부모님은 전혀 기억이 없고 특별히 찾고 싶은 마음도 없다"며 끝내 눈물을 보였다.

이번 대회 가장 큰 감동은 고령의 참가자들이었다. 나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지칠 줄 모르는 열정과 도전으로 박수를 받았다.

여자 자유형에 참가한 아마노 토시코(93·일본)는 대회 최고령자였다. 비록 빠르지 않았고 다른 선수들과 격차는 크게 벌어졌지만 자신만의 레이스를 펼쳐 완주했다.

아마노 할머니는 "다음 대회에도 계속 나갈 것"이라며 "100세까지는 출전하고 싶다"고 의욕을 불태워 도전의 의미를 일깨워줬다.

뉴스1

광주세계마스터즈수영선수권대회 최고령 참가자인 93세의 아마노 토시코가 13일 자유형 100m를 완주한 후 관중들의 환호에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조직위 제공)2019.8.13/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자 최고령이자 최다종목 출전자였던 불가리아에서 온 테네프 탄초(91)는 노익장의 정점이었다. 젊은 사람들도 쉽지 않은 다이빙에 나서는 등 무려 11개 종목을 신청해 도전을 이어갔다.

그는 "내 삶의 욕망이 있다. 욕망이 없으면 목표에 다다를 수 없으며 삶 또한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나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이 대회에 참가했다"며 끊임없는 도전을 강조해 감동을 줬다.

선수촌 자원봉사에 나선 쌍둥이 남매의 이야기도 화제였다. 미국에 거주하는 오빠 소원호씨(65)와 광주에 사는 동생 성자씨 쌍둥이 남매는 의기투합해 청소 봉사에 나섰다.

이들 남매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땀 흘리는 것을 알게 됐다"며 "이들의 헌신이 대회를 치러내는 힘이고 광주의 저력이 아니겠느냐"며 환하게 웃었다.

광주세계마스터즈수영선수권대회는 무대 위에서 펼쳐진 가슴 찡한 사연과 도전, 그리고 무대 아래서는 수많은 자원봉사자와 시민서포터즈, 운영요원들의 헌신이 만들어낸 합작품이었다.
nofatejb@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