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김대중의 참모들이 전하는 "김대중이라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매경DB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원한 참모'를 자임하는 사람들은 최근 불거진 한일 간 경제 갈등을 두고 '김대중식 처방전'을 내놨다.

설훈·김한정·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한목소리로 "김 전 대통령이라면 일본이 한국과의 대화에 응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드는 데 모든 에너지를 쏟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식적인 특사를 일본에 보내기 이전에 물밑에서 현 상황에 대한 한국의 인식을 일본 정부·시민단체·언론 등 모든 채널에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라 내다봤다.

1985년 김대중 당시 평화민주당 총재 비서로 정치활동을 시작해 '동교동계의 막내'라는 별명을 지닌 설훈 의원은 "지금 일본과의 관계는 문재인 대통령이 8.15 담화에서도 말씀하셨듯이 우리가 대화의 문을 열어둔 상태"라며 "즉 일본에 대화 채널 가동의 공이 넘어간 것"이라고 진단했다. 설 의원은 "DJ라면 일본의 반응을 기다리면서 일본이 대화에 응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중정부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을 지낸 이훈 민주당 의원도 "DJ라면 일본과의 '비공식 접촉면'을 넓혀가기 위한 노력을 계속 기울이셨을 것 같다"며 "먼저 DJ는 일본과 인연이 있는 모든 국내외 인사들에게 조언을 구했을 것 같다. 학계 전문가, 정치권 인사, 일본 언론, 일본 내 지한파 의원 등을 차례로 만나 조언을 구하고 우리의 의견을 전달하게 하고, 일본의 의견을 확인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어 "이처럼 물밑에서의 여건이 어느 정도 성숙하고 나면 공식 특사를 보내는 등 방식을 고민하셨을 것"이라고 했다. 외교가 공식과 형식으로만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제 공식 외교 이전 단계의 물밑외교가 훨씬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 의원은 특히 "여야 5당이 함께 구성한 일본 수출규제 대책 민관정 협의회는 김 전 대통령이라면 직접 주재하셨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한일관계 문제를 풀기 위해서 국내에서는 이견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게 이유다.

김한정 민주당 의원은 보다 문재인정부가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김 의원은 "김 전 대통령은 '오부치 선언' 이후 일본의 변질과 배신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셨을 것"이라고 운을 뗐다. 김 의원은 김대중정부 청와대 제1부속실장을 역임했고, 2000년 남북정상회담에서 김대중 대통령을 수행한 바 있다.

그는 "아베 정권이 반성은커녕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전범 국가를 전쟁국가로 만들려고 하고 있다"며 "이같은 움직임이 동아시아 평화에 역행함과 동시에 국제자유경제질서를 훼방 놓는 것이라는 점을 국제사회에 더 강력하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오부치 정권의 반성에 기초해 우리가 용서했고, 동반자로서 협력선언을 한 것"이었다며 "일부 정치권에서 20여년 전의 역사를 왜곡해 우리의 선택이 한일 갈등 문제의 원인이 된 것처럼 말하는데 이는 김대중을 오·남용하고 오독하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홍성용 기자 / 윤지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