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단국대병원 우승훈 교수팀, 흉터없는 갑상선암 수술법 확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혈전 발생 높이는 CO2 가스 사용하지 않아 안전 / 안전하게 아랫 입술 감각신경 손상 없이 수술

갑상선 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의 큰 걱정거리 중 하나는 수술 후 흉터다. 여성 갑상선 암 환자들의 경우 수술 후 흉터는 콤플렉스가 되기도 한다.

“흉터없는 갑상선 암 수술이 가능할까?”

단국대병원(병원장 조종태)은 이비인후과 우승훈 교수팀이 갑상선 암 환자들의 고민을 해결하는 흉터없는 갑상선암 수술인 ‘경구강 갑상선 수술법’을 확립해 국내외 학계로부터 주목받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세계일보

단국대병원 우승훈 교수


단국대병원에 따르면 기존의 갑상선암 수술은 수술 공간의 확보를 위해 이산화탄소(CO2)를 사용했으나 이는 갑상선 주위에 분포되어 있는 혈관들로 인해 혈전 가능성을 높여 환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또 흉터를 작게 남기기 위해 작은 구멍을 통해 수술기구들을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우 교수 팀이 확립한 수술법은 CO2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수술기구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해부학적으로 안전하게 접근해 아랫입술의 감각신경 손상 가능성을 없앴다. 이를 통해 수술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수술의 안전성을 높이고 수술환자들의 만족도까지 높였다.

우 교수는 이러한 결과를 최근 SCI 논문인 Surgical Endoscopy에 발표했다. 우 교수는 최근 이 논문을 토대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2019 유라시아학회 초청 강연을 통해 CO2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무흉터 경구강 갑상선 수술법을 소개했다. 이번 연구는 연세대학교 해부학과 양헌무 교수팀과 협력하여 인체 카데바 시험을 통해 안전한 경구강 갑상선 접근구역을 확립하고, 이를 환자에게 적용하여 무흉터 경구강 갑상선 수술법의 안전성을 증명했다.

세계일보

단국대병원 우승훈 교수팀의 갑상선암 수술장면.


최근 우 교수에게 갑상선암 수술을 받은 이모(여·27)씨는 “처음에 입을 통해 수술을 한다고 했을 때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지만, 수술 이후 통증이 심하지 않았고 수술 당일 바로 식이도 가능했다. 무엇보다 수술 이후 외부로 보이는 흉터가 전혀 없어 만족스럽다”고 소감을 밝혔다.

향후 이 수술법은 갑상선 무흉터 수술 뿐 아니라 전경부 종양, 부갑상선, 종격동 종양 수술법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성전환자의 튀어나온 목젖을 성형하는데도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우승훈 교수는 최근 2019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다인선도연구자상을 수상하는 등 갑상선암 진단 치료 및 두경부 영역(갑상선 포함)의 무흉터 수술로 학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천안=김정모 기자 race1212@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