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WSJ "홍콩 시위 격화에 자금 이탈 가속 조짐…짓눌리는 홍콩 달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에 반대하는 홍콩 시위가 격화하면서 홍콩 내 자금 이탈이 가속화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홍콩 달러 가치가 빠르게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18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런던 소재 송금업체 트랜스퍼와이즈(TransferWise)는 송환법 반대 시위가 시작된 뒤로 홍콩에서 해외로 송금이 대폭 늘었다고 밝혔다.

몇 달 전까지만 하더라도 홍콩서 유출되는 자금과 유입되는 자금의 비율이 꽤 일정한 수준이었지만 시위 이후로 유출 비율이 급격히 높아졌다는 것. 트랜스퍼와이즈에 따르면 8월 중 홍콩으로 송금되는 1달러당 유출되는 금액은 2.64달러 정도다.

뉴스핌

18일 홍콩 시위 현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랜스퍼 와이즈 대변인은 정확한 금액을 공개하긴 거부했지만, 홍콩을 떠난 자금은 영국, 미국, 싱가포르, 호주, 유로존 국가 등의 계좌를 향했다고 밝혔다.

송환법 반대 시위가 점차 격화되고 글로벌 최대 금융 허브라는 홍콩의 미래를 둘러싼 불안감이 커지면서 유통 및 관광업계를 비롯해 기업 신뢰도는 빠르게 추락 중이며, 주식 및 부동산 시장까지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미즈호은행 수석 아시아 외환전략가 켄 청은 미 달러 대비 홍콩 달러 가치가 양국 금리 상황에도 불구하고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은 자금 유출 신호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지적했다. 그는 홍콩 증시 하락도 일부 투자자들이 자금을 해외로 이전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홍콩 달러화의 페그는 지난 1983년 이후 주요 통화 가운데 최장기간에 걸쳐 유지되고 있고, 2005년 이후로는 7.75~7.85홍콩달러 선에서 안정을 이뤘다.

홍콩의 은행간금리가 미국보다 높은 수준으로 평소대로라면 홍콩 달러가 지지를 받아야 하겠지만 지난 금요일 홍콩달러는 미 달러당 7.8399홍콩달러 선에 거래되는 등 밴드 상한에 근접해 경고음을 울렸다.

홍콩 통화 당국은 최근 통계자료 및 금융시장 상황을 검토했을 때 눈에 띠는 수준의 홍콩달러 유출은 감지되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매체는 자본 유출에 관한 포괄적 공식 집계치가 수개월의 시간차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러한 당국의 입장을 크게 신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물론 현재로서는 이러한 자금 유출이 소규모에 불과할 수도 있다. 매체가 접촉한 12명의 전문가들은 아직 자금을 이전하지 않은 상태라고 답했으며, 일부 외국인 근로자들의 경우 이미 자국에 계좌를 갖고 있는 상황인 만큼 (홍콩에서의) 자금 이전이 기존에 추구하던 분산 투자 전략의 일환일 수도 있다.

하지만 홍콩에 거주하는 시민들 사이에서는 자금에 대한 불안감이 분명 커지는 분위기다.

홍콩에서 건축 자재 수출 업체를 운영하는 민 청은 홍콩 내 부동산 매입 계획을 철회했고, 대신 400만홍콩달러를 미 달러 보험 상품에 투자했다면서 “시위 때문에 홍콩 시장을 신뢰할 수가 없고, 홍콩 부동산 매입보다 (미 달러 보험 상품이) 더 안전하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컨설팅업체 퓨처-무브스 최고경영자 드바다스 크리쉬나다스는 큰 손 고객들이나 대기업들이 개인 자금과 투자 자금을 모두 홍콩에서 빼내고 있다면서, 이들이 즉각적인 소요사태 보다는 금융 허브라는 홍콩의 명성에 미칠 장기적 영향을 우려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kwonjiun@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