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국내 대기업 절반 “日 수출규제, 경영에 악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경연, 1000대 기업 대상 설문 / 매출액 2.8%·영업익 1.9% 감소 전망 / 업종별로 일반기계 -13.6% 직격탄 / 해결책으론 ‘정부 외교적 타협’ 꼽아

국내 대기업 중 절반 이상이 일본의 수출규제가 경영에 악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일 경제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00대 기업(매출액 기준)을 대상으로 벌인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 조사에서 ‘자사 경영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이 51.6%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영향 없음’은 48.4%였다.

매출액은 평균 2.8%, 영업이익은 평균 1.9% 각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매출에 악영향을 준다고 답한 기업만을 집계하면 매출액 평균 감소율은 평균 5.7%로 두 배 넘게 확대됐다.

세계일보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수출 화물이 컨테이너선박에 선적되고 있다. 연합뉴스


업종별 매출액은 일반기계가 -13.6%로 감소폭이 가장 크고 이어 석유제품(-7.0%), 반도체(-6.6%), 철강제품(-3.9%), 무선통신기기(-2.7%) 순이었다. 영업이익도 일반기계의 감소폭이 -7.9%로 가장 크고, 석유제품(-5.4%), 반도체(-5.1%), 디스플레이(-2.4%), 철강제품(-1.9%)이 뒤를 이었다.

한경연 유환익 상무는 “2018년 1000대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5.3%임을 감안할 때 설문조사대로 영업이익이 1.9% 감소할 경우 업종에 따라 일부 기업들의 적자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세계일보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기업들의 단기 대응방안은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53.7%), ‘대체 부품소재 물색’(15.9%), ‘일시적 사업 축소·긴축경영’(8.5%),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8.0%) 등이었다. 장기 대응방안도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가 28.8%로 가장 많았고, ‘부품소재 국산화’(25.0%), ‘대체 부품소재 확보’(14.4%),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11.5%), ‘사업 축소·긴축경영’(4.8%), ‘생산설비 해외이전’(1.4%) 등이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정책지원 과제도 ‘대체 수입선 확보 지원’(30.9%)이 가장 많고, ‘부품소재 국산화 재정지원’(23.9%), ‘피해업종 세제 혜택’(23.0%), ‘화학물질·부품소재 규제 완화’(16.6%) 순이었다.

대기업들은 한·일 경제갈등 해결 방안으로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40.5%)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21.9%), ‘미국의 한·일 중재’(14.3%), ‘국제적 여론 형성’(11.1%), ‘민간기업·경제단체 활용’(6.2%), ‘기업 자체 역량에 의한 해결’(5.1%) 순이었다. 앞서 중소기업중앙회가 일본 제품 수입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정부가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 및 국제공조 강화’(44.7%)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계일보

이번 조사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2일까지 실시했다. 접촉된 898개사 중 153개사가 응답했으며 95% 신뢰 수준에서 표본오차는 ±7.29%다.

김수미 기자 leol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