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DLS-DLF 개인 투자자 3600명… 원금 절반이상 손실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8224억 판매… 개인이 89% 차지

1인당 평균 2억여원씩 물려… 獨 국채 연계 상품 95% 손실 위기

금감원, 은행상대 ‘집중 검사’ 예고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적금 만기가 돼서 은행에 갔다가 독일이 망하지 않는 한 가장 안전한 상품이라고 해서 가입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소화도 안 되고 눈물만 납니다.”

“항의하러 지점에 갔다가 같은 처지인 고령 투자자 수십 명을 만났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위험한 상품을 고령 투자자 분들께 판매할 수 있습니까?”(파생상품 피해자 단체 채팅방)

원금 손실 우려가 커진 해외 금리와 연계된 파생결합증권(DLS)와 파생결합펀드(DLF)에 개인투자자 3600여 명의 돈 7300억여 원이 물려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 수준의 금리 기조가 이어지면 투자액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1차 실태 조사를 마친 금융감독원은 이달 중 해당 상품을 설계한 증권사와 판매 주체인 은행을 상대로 ‘집중 검사’에 나설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품의 위험성을 설명하지 않는 등 불완전 판매가 조직적으로 이뤄졌는지 상품 설계에서부터 판매까지 샅샅이 들여다보겠다”라고 밝혔다.

19일 금감원에 따르면 7일 기준 국내 금융사들의 주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F·DLS) 판매 잔액은 총 8224억 원에 달했다. 해당 상품들은 독일 국채 10년물이나 영국 파운드화 이자율 스와프(CMS) 금리 등 해외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상품 만기 시점에 금리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투자자들은 원금과 함께 연 3∼5%의 수익을 올릴 수 있지만 금리가 예상보다 많이 떨어지면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구조다.

‘리스크’가 결코 작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들은 해당 상품을 프라이빗뱅킹(PB) 고객을 대상으로 사모(私募) 형태로 집중적으로 판매했다. 은행 판매 규모가 전체 판매액의 99.1%(8150억 원)나 된다. 우리은행(4012억 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고 KEB하나은행(3876억 원), 국민은행(262억 원)의 판매액이 뒤를 이었다. 증권사에서는 74억 원어치가 팔렸다. 유안타증권(50억 원), 미래에셋대우증권(13억 원), NH투자증권(11억 원) 순이었다. 투자자의 95% 이상인 3654명이 개인이었다. 은행 창구를 통해 가입한 사람들이 많았다. 개인 투자 금액은 7326억 원으로 전체 판매액의 89.1%를 차지했다. 리스크 관리에 밝은 편인 법인(188사) 투자액은 898억 원 수준이었다.

손실 규모는 심각한 수준이다. 우리은행이 판매한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DLF 상품은 판매 잔액(1266억 원)이 전액 손실 구간에 진입했다.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현 수준인 ―7% 안팎에 머무르면 투자자들은 원금의 95.1%인 1204억 원을 날리게 된다. 영국과 미국 통화 이자율 스와프(CMS)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F 상품도 판매 잔액 6958억 원의 85.8%(5973억 원)가 손실 구간에 있다. 만기 시 예상 손실금액은 3354억 원(56.2%)에 이른다.

금감원은 판매 규모가 큰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점검할 계획이다. 투자자들은 이미 “다른 은행에서는 위험성이 지적돼 논란이 된 상품을 왜 계속해서 판매했느냐”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까지 해외 금리 연계형 DLF를 판매했던 IBK기업은행은 금리 변동성이 심해지자 올 초부터 판매를 중단했다. 신한은행도 해당 상품의 높은 위험성 때문에 이를 취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금감원에는 불완전 판매를 주장하는 소비자들의 분쟁조정 신청이 29건 접수됐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