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제주 쓰레기 처리 대란 급한 불 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봉개동 쓰레기매립장주민대책위, 원희룡 지사와의 면담 조건으로 반입 저지 해제

제주CBS 박정섭 기자

노컷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매립장 이설 지연과 악취로 불거진 봉개동 주민들의 쓰레기 반입 저지가 조건부 해제됐다.

봉개동 쓰레기매립장주민대책위원회는 19일 밤 제주시와 장고의 회의 끝에 원희룡 지사와의 면담을 조건으로 쓰레기 반입을 허용하기로 했다.

하지만 20일 오전 원희룡 지사와의 면담이 성사되지 않으면 이 날 자정부터 다시 쓰레기 반입을 저지하기로 했다.

주민대책위는 지금까지 음식물 쓰레기매립장 이설에 대한 약속 이행을 요구하며 공문과 내용증명 등을 통해 도지사 면담을 요구했지만 제주도는 어떠한 응답도 내놓지 않았었다.

음식물쓰레기 반입 저지가 조건부지만 단 하루만에 풀리면서 우려됐던 쓰레기 처리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주민들은 제주시 봉개동쓰레기매립장 음식물 처리시설의 이설이 행정의 약속보다 1년여 지체될 것으로 예상되자 19일 오전 6시부터 봉개동 음식물자원화센터 입구에서 집회를 열고, 음식물쓰레기 반입을 막아섰었다.

이들이 쓰레기 반입 저지에 나선 건 야적된 압축쓰레기와 폐목재에 의한 2차 피해가 발생하고 있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때문이다.

특히 2011년과 2016년, 2018년 등 3번의 매립장 연장 운영 협약에도 또다시 행정이 연장을 요구한 데 대한 불만이 집단행동으로 불거졌다.

제주시는 오는 2021년 10월31일까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을 서귀포시 색달동으로 이설하겠다고 주민들에게 약속했지만 기획재정부의 적정성 검토 등 행정절차에 시일이 소요, 2023년 상반기가 돼야 이설이 가능할 전망이다.

주민들은 “쓰레기 대란 발생은 막아 달라는 행정의 요구에 봉개동 주민들은 공익적 차원에서 연장 기간 동안 기본권 침해도 참아냈다”며 “하지만 세 번의 연장도 모자라 다시 연장을 요구하는 행정의 현실에 주민은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한편 고희범 제주시장은 지난 16일 기자회견을 통해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와 색달리 광역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이 가동되면 시설 포화나 악취 등 현재와 같은 어려움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며 “봉개동 주민들께서는 제주시의 어려운 상황을 이해해 쓰레기 반입을 막지 말아줄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