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어촌에 청년 정착·창업 지원…경북도 '반학반어' 시범사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귀어귀촌 박람회 소형 어선
[연합뉴스 자료 사진]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도는 학생들에게 어촌 정착 기회를 제공하는 반학반어(半學半漁)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도는 새로운 소득 창출 기회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어촌에 청년들을 유입해 활력을 불어넣고 학생들이 어촌을 체험하며 정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업을 마련했다.

공개모집을 거쳐 뽑힌 3개 팀 15명은 주 5일 가운데 3일은 대학에서 수업을 받고 2일은 어촌 생활을 한다.

다음 달부터 4개월간 포항, 경주, 울진 등 어촌마을을 돌며 지역 특화자원 활용 음식 콘텐츠 개발, 가공식품 제조·운영 모델 개발, 특화자원 홍보방안 마련 등을 한다.

도는 이들에게 교육과 컨설팅, 활동비 등을 지원하고 소속 학교는 활동 시간을 학점이나 수업(실습), 봉사활동으로 인정해준다.

도는 이 사업이 청년의 어촌 정착과 창업 등 새로운 아이디 발굴로 마을 재생과 공동체 복원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도는 지역 어가 인구가 2013년 8천534명에서 지난해 5천715명으로 33%나 줄었고 동해안 5개 시·군 가운데 포항을 제외한 4곳이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자 어촌 소멸을 막기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이 사업을 기획했다.

전강원 경북도 동해안전략산업국장은 "반학반어 사업이 어촌마을에 생동감을 불어넣고 나아가 창업과 정착을 유도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청년들의 어촌마을 정착을 돕는 사업을 지속해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haru@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