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두터워진 日 대사관 앞 경비… 화분 설치 하고 경비 인력 늘리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차량 테러에 대비한 ‘대형 화분 설치’와 경찰병력 증강 배치

반일 물결 계속 이어지자, 경찰도 경비태세 계속 강화

헤럴드경제

일본대사관 앞 모습. [헤럴드경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한국에 소재한 일본의 공관들에 대한 경비가 일제히 강화됐다. ‘반일 이슈’가 넘쳐나면서 일본 대사관·영사관 앞에서 차량 돌진, 분신·촛불 집회 등이 잇따라 벌어졌기 때문이다. 경찰은 경비병력을 증강하고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시설물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구급차를 배치하는 등 경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20일 경찰 관계자는 종로구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대형 화분 6개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19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보복에 반발한 한 70대 남성이 일본대사관에 차량을 몰고 돌진한 뒤 경찰이 제지하자 자신의 차량에 불을 질러 숨진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일본대사관은 사건이 발생하자 2차례에 걸쳐 관할 종로경찰서에 주한일본대사관의 경비 강화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후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앞서 ‘쇠말뚝’으로 불리는 차량 방지 구조물 볼라드(bollard) 설치를 검토했지만, 인근 구청과 협의를 가진 끝에 대형화분을 설치하기로 방향을 돌렸다. 대사관 앞에 볼라드를 설치하는 것은 미관상 좋지 않다는 내부 지적에 따른 조치였다.

일본대사관 앞 경비인력 역시 늘어났다. 경찰은 예년과 비교했을 때 약 30% 가량 증강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외에도 서울 일선 경찰서에 일본 관련 시설에 대한 ‘경비강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예컨대 성북구 소재 일본대사관저에는 구급차가 배치됐다. 시민단체들이 일본대사관 뿐만 아니라 대사관저 앞에서 집회를 여는 빈도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시민단체들은 일본대사관저를 향해 고추장섞은 물을 투척하거나, 출근길에 나선 일본 대사의 이동을 방해하기도 했다.

경찰은 부산일본국총영사관 경비업무에 최근 경찰 기동대 1개 중대를 추가로 배치됐다. 기존 의경 1개 중대가 근무했던 데서 경비 경력이 늘어난 것이다. 한 경찰 관계자는 “앞서 의경 1개 중대만이 24시간 교대근무를 하며 영사관을 지켰는데, 직원 중대 1개 부대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추가로 배치해서 돌발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제주일본국총영사관 앞에도 지난 광복절까지 경비를 강화했다. 현재 제주 영사관 앞에는 아베 정권의 경제 보복에 항의하는 제주 정치인들의 시위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시위가 최근 1인시위로 축소됐고, 광복절 이후에는 배치 병력을 조금 줄였다”고 했다.

지난 15일 제 74주년 광복절을 맞아, 대대적인 반일 시위가 일어난 뒤에도 전국 곳곳에서는 산발적으로 반일, 반아베 관련 집회들이 이어지고 있다. 부산에서는 강제징용노동자상이 설치된 일본총영사관 인근 150m 거리를 시민단체가 ‘항일 거리’로 지정한다고 해 논란이 일었다.

서울에서는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아베규탄 시민행동’ 측이 진행하는 집회가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꾸준히 이어지며, 매주말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이곳을 찾고 있다.

한일 관계도 악화 일로다. 사토 마사히사(佐藤正久) 일본 외무성 부대신(차관)은 지난 18일 후지TV에 출연해 한국의 반일 집회 영상을 “어색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방송에 출연한 사토 부대신은 ‘노(no) 아베’ 노랫소리에 대해 “현장에서 급하게 가르쳤다는 것도 있겠지만 억지로 그런 분위기를 만들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발적 집회라기 보다 연출된 부분이 있다는 의미다.

사토 부대신은 육상자위대 자위관 출신의 극우 인사로, 지난 2011년 독도 입도가 거부되자 울릉도에 가겠다며 한국 공항에 왔다가 입국하지 못하고 돌아간 의원이다. zzz@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