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돈의문 강제 철거 104년만에 디지털기술로 복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희정 기자] [우미건설, 민관협력 프로젝트… AR·VR 체험관, 가상현실로 돈의문 성곽 오르기도]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였던 1915년에 강제 철거됐던 돈의문(敦義門)이 104년만에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복원됐다.

우미건설(대표 이석준)은 돈의문 터인 정동사거리에서 AR(증강현실) 및 VR(가상현실)로 돈의문을 체험할 수 있게 됐다고 20일 밝혔다. 문화재청, 서울시, 제일기획과 함께한 민관 협력 프로젝트다.

우미건설이 예산을 지원하고 문화재청과 서울시가 프로젝트 총괄 기획과 지원을, 제일기획은 증강현실 복원 작업과 체험관 기획·제작을 맡았다.

이번에 개발한 돈의문 AR 애플리케이션(앱)을 정동사거리 주변에서 실행하면 돈의문의 웅장한 모습을 여러 각도에서 시간대별로 경험할 수 있다.

인도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서도 AR로 재현된 돈의문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돈의문의 역사와 복원 과정에 대한 간략한 정보와 함께 돈의문 AR체험 앱 설치 안내 정보 등을 제공한다.

돈의문박물관마을의 초입 대로변 3층 규모 건물에는 돈의문 체험관이 마련됐다. 1층에는 돈의문 디오라마(축소 모형)와 과거 사진 등이 전시되고 돈의문의 역사와 복원 과정이 담긴 영상도 상영된다.

체험관 2·3층에는 돈의문을 가상현실로 체험하는 VR존을 운영한다. VR존에는 총 8대의 VR기기를 비치해 가상현실 속에서 돈의문의 주변을 둘러보고 성곽에 오르는 등의 체험을 할 수 있다.

이번 돈의문 복원 작업은 교통 영향 및 예산 등 현실적 제약을 극복하고 민관협력으로 4차산업혁명의 기술인 AR과 VR로 문화재를 구현한 사례다. 9개월간 전문가 자문회의 등 고증을 바탕으로 디지털 복원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한편 돈의문 디지털 복원에 참여한 4개 기업과 기관은 이날 오전 돈의문 옛터에서 돈의문 복원 기념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이석준 우미건설 사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강태웅 서울시 행정1부시장, 유정근 제일기획 사장 등이 참석해 모바일 AR 앱 체험과 체험관 관람, VR존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김희정 기자 dontsigh@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