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배출가스 불법조작’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고객 불편 최소화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20일 환경부가 배출가스 불법조작 적발 결과를 발표한 데 대해 “환경부의 결정을 존중하며, 본사와 함께 해당모델의 리콜계획에 대해 환경부의 승인을 득하고,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독일 아우디그룹은 2016년 8월 모든 디젤엔진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고,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사안에 대해 자발적으로 독일연방자동차청(KBA)과 긴밀히 협의해 왔다”며 “이번 요소수 건도 아우디그룹이 KBA와 협의해 왔던 건”이라고 설명했다.

또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해당 사안에 대해 인지한 즉시 환경부에 알리고, 그간 긴밀히 협의해 왔다”며 “이를 토대로 한 리콜계획서를 2018년 11월 29일, 2019년 1월 4일 두 차례에 걸쳐 환경부에 제출했다”고 전했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 따르면 이번에 배출가스 불법조작이 적발된 차량은 국내에서 아우디 5개 차종 3개 모델 6656대, 폭스바겐 2개 차종 1개 모델 672대 등 총 7362대가 팔렸다. 이들 차량은 2015년 5월 21일부터 2018년 1월 15일까지 판매됐다.

앞서 환경부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포르쉐코리아가 국내에 수입·판매한 유로(EURO)6 경유차량 8종 총 1만261대에서 배출가스 불법조작을 적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차량은 2015년 5월부터 2018년 1월까지 판매된 경유차량 8종으로 아우디 A6 3종(FMY-AD-14-11, FMY-AD-14-10, HMY-AD-14-13), 아우디 A7 2종(FMY-AD-14-12, HMY-AD-14-08), 폭스바겐 투아렉 2종(FMY-AD-14-27, HMY-AD-14-19), 포르쉐 카이엔 1종(FMY-SG-14-01)이다.

이들 차량에는 요소수 분사량을 감소로 질소산화물을 증가시키는 불법조작이 임의로 설정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