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미국식 주주 자본주의 시대의 종언? 美 CEO 181명 "사회 책무 다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업목적, 주주 이윤추구 아냐"

조선일보

(왼쪽부터)다이먼, 베이조스, 팀 쿡


미국식 '주주 자본주의'의 종언을 알리는 신호일까? 이름만 대면 세계 어디서도 알 법한 미국의 쟁쟁한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기업의 목적은 더 이상 주주 이윤 극대화가 아니라고 선언했다. 자유주의 경제 이론의 태두 밀턴 프리드먼이 1970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익을 올리는 것"이라고 주장한 이후 지난 50년 동안 영미식 기업 경영의 철칙으로 여겨져온 가치를, 그 첨병인 CEO들이 앞장서 부인한 것이다.

미국 주요 기업 CEO들의 모임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은 19일(현지 시각) "고객에 대한 가치 제공, 종업원에 대한 투자, 협력 업체와 공정하고 윤리적인 거래, 지역사회에 대한 지원, 장기적인 주주 가치 창출 모두가 기업의 필수적인 목적"이라고 선언했다. 1997년 이후 22년 동안 '기업은 주주에게 봉사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밝혀온 BRT가 종업원 등 다른 이해관계자들을 주주와 나란히 언급한 것이다.

이날 성명에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CEO를 비롯해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애플의 팀 쿡, 제너럴 모터스(GM)의 메리 바라 등 회원 188명 중 181명이 서명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오늘날 많은 미국인은 고된 노동에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고 있으며, 급속한 경제 변화에 적응할 충분한 대책 없이 놓여 있다"며 "이런 현실에서 기업의 역할을 감안해 원칙을 현대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BRT 회장인 다이먼 CEO는 이날 "아메리칸 드림은 살아있지만, 닳아 없어지고 있다"며 "새로운 원칙은 모든 미국인에게 혜택을 주는 경제를 계속 추진하겠다는 재계의 변함없는 의지"라고 말했다.

고액 연봉을 챙겨오며 미국식 주주 자본주의의 수혜자로 꼽혀온 CEO들이 주주 이익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기업의 목적으로 들고나온 것이다. 주주 자본주의란 기업의 주인은 주주이고, 대리인인 CEO는 주주를 위해 일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오로지 실적에 근거해 주주가 이익을 얻으면, CEO는 주주총회에서 고액 연봉으로 보상받는 구조다. 하지만 이런 성과 지상주의 속에 과로에 시달리는 저임금 근로자, 황폐화되는 자연 등이 외면받는 건 문제로 꼽혀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주요한 철학적 전환"이라며 "근로자 임금과 환경에 대한 영향 등 다양한 이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근의 사회주의 인기 등 변화하는 시대상을 반영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포퓰리즘,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자본주의를 개혁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 같은 변화를 이끌어 냈다"고 평가했다. 낸시 코언 하버드대 교수는 뉴욕타임스(NYT) 인터뷰에서 "대기업들이 시대정신에 반응하는 것 같다"며 "예전과 같은 경영 방식이 더는 용납되지 않는다는 것을 감지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선언이 구체적인 내용은 없어 알맹이가 빠졌다는 비판도 나온다. 래리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은 FT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수사적인 표현은 기업들이 세금과 규제 개혁을 저지하려는 전략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NYT도 "정작 과도한 CEO 연봉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조재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