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뇌연구원, 간질 유발 세포막 단백질 작동원리 세계 첫 규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포막 단백질 새 구조 발견…이온교환 수송원리 밝혀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간질 등을 유발하는 세포막 단백질의 작동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데일리

한국뇌연구원 임현호 책임연구원과 박건웅 연구원이
FPLC를 이용해 세포막단백질 CLC-ec1이 정제되는 모습을 관찰하고 있다. 사진=한국뇌연구원.한국뇌연구원(KBRI)은 임현호 책임연구원팀이 간질과 근육이상 등을 일으키는 세포막 단백질의 새로운 3차원 구조와 작동원리를 밝혀냈다고 21일 밝혔다.

신경세포는 세포막에서 염소이온(Cl-)과 수소이온(H+)을 교환해 전기적 신호전달과 신호전달물질 분비 등의 생리현상을 조절한다. 만일 이 과정에 관여하는 CLC 수송체 단백질에 문제가 생기면 근육 이상, 간질, 청각 및 시각 소실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임현호 박사 연구팀은 단일 CLC 수송체 단백질에서 이온교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외곽 글루탐산 잔기의 새로운 구조를 규명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연구팀은 외곽 글루탐산 잔기를 변화시킨 돌연변이 CLC 단백질들을 제작하고 9가지 다른 조건에서 이들의 입체구조를 규명했다. 또 수송체 내에서 염소이온(Cl-)이 결합하는 새로운 부위를 찾아냈다. 이를 통해 단일 CLC 단백질이 이온교환 과정에서 4개의 구조적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CLC 단백질 구조를 처음 규명해 지난 2003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미국 록펠러 대학의 매키넌 박사는 이 단백질이 세 개 이상의 구조적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고 예측했으나 현재까지 같은 생물종에서 두 종류 이하의 구조만 보고돼 왔다.

이 연구는 구조 결정이 어려운 세포막 단백질에서 새로운 구조와 기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한 물질 수송원리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향후 세포막 단백질에 기반한 여러 기능을 제어해 다양한 생리현상과 질병을 조절하는 기술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임현호 박사는 “구조와 기능을 통합한 시스템적 연구를 당장 결과가 나오지 않아도 장기적으로 지원해준 연구원 덕분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 뇌의 생리학적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세포막 단백질 연구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건웅 연구원이 제1저자로, 이병철 박사와 임현호 박사가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린 이번 연구 논문은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호에 게재됐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